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62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소재 개발하려면 ‘이것’부터 보세요
2014.09.19
2012년 김 교수는 경계면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 들었다.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인 경계면에 들어 있는 원자만 100만 개를 넘는다. 그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전자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경계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하나둘 밝혀내기 시작했다.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볼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100nm(나노
미터
,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물체를 또렷히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에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이 어려웠던 세포의 모양이나 분자 구조 등을 살펴볼 수 있어 향후 여러 분야에 활용될 ... ...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도 분석한다고?
2014.09.11
연구진이 그래핀에 나노
미터
(nm, 1nm는 10억 분의 1m) 단위의 구멍을 자유자재로 뚫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최인희 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 연구진이 상온에서 그래핀에 2nm 크기의 구멍을 손쉽게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최인희 서울시립대 교수 -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반대방향이냐에 따라) 제멋대로 움직일 경우 평균하면 0이 나올 것이다. 평방
미터
면적으로 환산해서 5~17마리인 저밀도 조건에서는 시간에 따라 상관관계값이 제멋대로였고 평균하면 0이 나왔다. 그런데 메뚜기를 좀 더 집어넣어 25~62마리가 되자 움직임에 변화가 일어났다. 즉 처음에는 각자 ... ...
단점 투성이 유기반도체의 화려한 변신
2014.09.01
이 박막에서는 기존보다 전하가 4배나 더 많이 움직였다. 또 연구진은 수백 나노
미터
(nm, 1nm=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는 박막 구조를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이를 화학 센서로 활용하면 감지하고자 하는 물질이 구멍 깊숙이 잘 침투해 미세한 양까지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 ...
길이만 30km, 세계 최장 가속기 ILC
2014.08.28
힘을 가해 위치를 조정한다. 이 시스템의 강점은 전자의 궤도를 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m) 단위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충돌하는 입자의 크기가 27nm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 정도 수준의 정밀도는 필수다. 실제로 연구팀이 지난해 12월부터 일본 국립 고에너지 가속기 연구소(KEK)에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떨어져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김 교수팀이 개발한 탐침은 굵기가 0.1μm(마이크로
미터
, 1μm는 100만 분의 1m)에 불과하지만 감도는 기존의 1000배 이상 뛰어나다. 이 탐침을 이용하면 뇌 표면에서 1mm 이하의 극히 정밀한 간격으로 뇌신경 신호 측정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정밀한 탐침을 개발하기 ... ...
전기 대신 열로 작동하는 차세대 메모리소자
2014.08.27
과학자들은 이 스핀이 한 방향으로 정렬돼 스핀전류가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해 수 나노
미터
(nm, 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나노자석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만든 차세대 메모리소자를 구상하고 있다. 문제는 지금까지 스핀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를 이용했지만 메모리소자가 작동하는 속도가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어려움을 겪어 왔다. 강정구 KAIST 교수 -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공동 연구팀은 10나노
미터
(nmㆍ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은입자를 식물에서 엽록소와 결합시켜 이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은 나노입자로 엽록소에서 빠져나가는 파장대의 빛을 흡수해 재사용했으며 엽록소를 전극기판 위에 ... ...
바이러스 감염 공포, 벗어날 방법은 이것 뿐!
2014.08.22
포착해 걸러내야 한다. 이때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장비가 최첨단 필터다. 수 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 크기의 바이러스만 걸러내는 초미세 구멍을 가진 필터를 만들려면 나노 단위를 자유자재로 제어하는 나노 기술이 필수다.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했다면 종류도 알아내야 한다. 가령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