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바로 그것이 무관심에서 호기심을 끌어내는 자극제가 된다. 그 호기심의 결과로 우리는
작은
돌덩어리 하나를 통해 화성에서 물의 존재를 유추할 수 있는 것이다.이런 호기심을 한꺼풀, 한꺼풀씩 벗겨 나가는 학문이 화학이고 물리학이다. 광물 안에는 지구와 우주의 역사가 있고, 양자역학도 있다.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돌아가 보죠. 이 문제는 생각보다 쉽게 풀 수 있습니다. 점 5개를 모두 포함하는 가장
작은
볼록다각형을 ‘볼록포’라고 합니다. 만약 볼록포가 오각형이면 단지 점 4개를 아무렇게나 뽑으면 됩니다. 사각형일 때는 안쪽에 있는 점만 고르지 않으면 되지요. 볼록포가 삼각형일때는 삼각형 안에 있는 ... ...
[과학뉴스] 호빗은 실제로 있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에렉투스로부터 (비교적 최근에) 진화했거나, 아니면 (그보다 훨씬 전에) 아프리카에 살던
작은
뼈를 가진 호미닌으로부터 진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있다. 전파를 많이 내는 은하 대부분이 무거운 타원은하라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질량이
작은
나선은하는 대부분 전파를 내지 않는다). 그러나 AGN의 전파는 블랙홀 질량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종학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최근에는 블랙홀이 빨리 회전할수록 제트가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없다. 2~5bar 정도 되는 주변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해 물을 분사하기 때문이다. 수도관에
작은
구멍을 내고 태양광 전지를 이용해서 구멍의 밸브만 여닫으면 악취를 50~80%까지 제거할 수 있다. 비용도 한달에 3만~4만 원에 불과해 약품에만 의존할 때보다 비용이 10분의 1로 줄어든다. 현재 서울 광진구와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장기로 옮겨가는 통로로 이용되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
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싸울 생각이 없을 경우는 앞다리만 한 번 흔들고 고개는 끄덕이지 않는다. 이런 식의
작은
몸짓 의사소통은 파충류의 세계에서 매우 흔하다. 재키드래곤과 같은 지역에서 사는 턱수염도마뱀 또한 비슷한 행동을 한다.팔굽혀펴기를 하는 종류도 있다. 갈라파고스 제도의 용암도마뱀 수컷들은 자신의 ... ...
[과학뉴스] 태양을 스윽~ 가린 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부른답니다.이번에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었던 일식은 부분일식이었어요(위
작은
사진). 서울에서는 태양의 3.5%가 가려진 모습을, 제주지역에서는 8.2%가 가려진 모습을 볼 수 있었지요. 같은 시간,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개기일식을 볼 수 있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35년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1708마리로 줄어든 것을 알아냈어요. 이후 이시카와현은 제비가 드나들 수 있도록 대문에
작은
틈을 만들거나 천적을 막아 줄 까마귀 모형을 다는 등 적극적인 제비 보호 활동을 벌이고 있답니다. 제비는 사람들이 바꾼 환경 때문에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거였어. 앞으로 우리 흥부자는 제비들이 잘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수 없을 정도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설명하는 확률 모델이다. 기체나 액체 속의
작은
입자가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현상을 나타내는 브라운 운동이나 천재지변과 같은 예측 불가능한 일로 주식이 오르고 내리는 현상을 설명할 때 주로 쓰인다. 연구팀은 최초의 좀비 7명이 왼쪽 그림과 같이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