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쇼킹 사이언스] 레트바 호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만든답니다. 자기 몸을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략인 셈이죠.결국 우린
작은
생물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마련한 똑똑한 전략 덕분에 예쁜 분홍빛의 레트바 호수를 볼 수 있게 된 거예요. 레트바 호수는 특이한 빛깔 덕분에 2005년 11월 18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후보에 오르기도 ... ...
[과학뉴스] 물고기는 뇌가 작아야 건강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빠지기 시작했어요. 4일 후, 다른 물고기의 비늘이 성공적으로 빠진 물고기의 수는 뇌가
작은
물고기가 16% 정도 더 많았답니다.콧샬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뇌의 진화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수학동아클리닉] 거울 속 수학세상이 보이는 마술피리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빛이 보여주는 마술의 세계에 빠져보자!최적의 경로를 찾아 이동하는 빛만화경은
작은
구멍을 통해 원통 안을 들여다볼 때마다 매번 아름답고 새로운 무늬를 보여주는 재미있는 장난감이다. 그런데 만화경 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형형색색의 종잇조각이 들어 있을 뿐 아니라 원통 안에서 길쭉한 ... ...
[Editor’s Note] 공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호빗’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병에 걸린 현생인류가 아니라, 정말 몸도 뇌도
작은
친척 인류였음을 입증하는 새 화석도 최근 발표됐다. 우리는 이들과도 함께 살았다. 인류는 천상 공존하는 존재였던 것이다.공존은 과거나 현재만의 일이 아니다. 인공지능 연구에 속도가 붙으면서, 학자들은 ... ...
[과학뉴스] 호빗은 실제로 있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에렉투스로부터 (비교적 최근에) 진화했거나, 아니면 (그보다 훨씬 전에) 아프리카에 살던
작은
뼈를 가진 호미닌으로부터 진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없다. 2~5bar 정도 되는 주변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해 물을 분사하기 때문이다. 수도관에
작은
구멍을 내고 태양광 전지를 이용해서 구멍의 밸브만 여닫으면 악취를 50~80%까지 제거할 수 있다. 비용도 한달에 3만~4만 원에 불과해 약품에만 의존할 때보다 비용이 10분의 1로 줄어든다. 현재 서울 광진구와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싸울 생각이 없을 경우는 앞다리만 한 번 흔들고 고개는 끄덕이지 않는다. 이런 식의
작은
몸짓 의사소통은 파충류의 세계에서 매우 흔하다. 재키드래곤과 같은 지역에서 사는 턱수염도마뱀 또한 비슷한 행동을 한다.팔굽혀펴기를 하는 종류도 있다. 갈라파고스 제도의 용암도마뱀 수컷들은 자신의 ... ...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머리가 좋고 공격성이 낮아 많은 사람들이 좋아한답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크기의 ‘토이 푸들’부터 사냥개로도 쓰였던 커다란 크기의 ‘스탠다드 푸들’까지, 크기도 다양하지요.헤엄을 잘 치기 때문에 옛날에는 물에 빠진 사냥감을 주워오는 역할을 하기도 했어요.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작은
돌기가 넓게 자리잡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울퉁불퉁하게 생겼어요.머리에는 눈보다
작은
둥근 고막(귀)이 뚜렷하게 보이며 눈 뒤에는 커다란 타원형의 귀밑샘이 있지요. 귀밑샘에서는 천적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해 하얀 독액을 분비한답니다. 이 독액에는 동물의 신경을 마비시키고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수 없을 정도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설명하는 확률 모델이다. 기체나 액체 속의
작은
입자가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현상을 나타내는 브라운 운동이나 천재지변과 같은 예측 불가능한 일로 주식이 오르고 내리는 현상을 설명할 때 주로 쓰인다. 연구팀은 최초의 좀비 7명이 왼쪽 그림과 같이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