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보통은 윗니로 뼈를 고정하고 아래턱을 움직여 뼈를 갉아낸다. 그 결과 위턱이 문 쪽엔 작은 점 모양의 찍힌 자국이 생기고 아래턱이 문 쪽엔 긴 일직선 형태의 긁힌 자국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오로지 앞니를 갈기 위한 목적으로 뼈를 이용하는 회색 큰다람쥐(gray squirrel)는 긴 뼈의 몸통처럼 두껍고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바로 그것이 무관심에서 호기심을 끌어내는 자극제가 된다. 그 호기심의 결과로 우리는 작은 돌덩어리 하나를 통해 화성에서 물의 존재를 유추할 수 있는 것이다.이런 호기심을 한꺼풀, 한꺼풀씩 벗겨 나가는 학문이 화학이고 물리학이다. 광물 안에는 지구와 우주의 역사가 있고, 양자역학도 있다.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자신의 분야에서 한 획을 그은 과학자들이다. 연구를 흐르는 강물에 비유하자면, 크고 작은 강줄기를 새로 낸 뛰어난 이들이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강물을 거꾸로 되돌리기도 한다. 200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아론 치에하노베르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교수가 그런 과학자다. 지난 5월 31일,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위해 우주로 눈을 돌렸어요. 우주에는 태양보다 수십에서 수백 배 무거우면서도 부피는 작은 블랙홀 등 강한 중력파를 만들 수 있는 것들이 많기 때문이에요.2015년 9월, 최초로 검출된 중력파는 지금으로부터 13억 년 전 두 개의 블랙홀이 서로의 주위를 돌면서 만들어진 거예요. 이 블랙홀들은 각각 ... ...
- [소프트웨어] 눈 더미보다 더 빨리~ 날아라, 스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곳도 있지만 아주 급한 곳도 있고 동굴 속을 지나가기도 한답니다.슬로프 중간에는 크고 작은 바위가 나와요. 여기에 부딪치면 꽈당 넘어져요. 누워 있는 시간이 길수록 눈 더미가 빨리 들이닥치죠. 그래서 돌이나 바위를 만나면 터치스크린을 살짝 눌러 점프하면 돼요.눈사태를 피해 도망가는 건 ... ...
- [과학뉴스] 예쁜 배지가 과학자들의 마음을 녹였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함께 투고된 논문 중 데이터와 재료를 다른 과학자와 공유하겠다고 밝힌 논문에 작은 배지를 달아주는 프로젝트를 2014년 1월부터 시작했다.그 결과 3% 내외였던 공개 비율이 1년 만에 23%로 뛰었다. 그리고 2015년 상반기에는 최고기록인 40%까지 치솟았다. 비슷한 주제를 다루는 다른 저널들의 공개 논문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년간 인류는 가시광선이라는 작은 창으로 우주를 탐구해왔다. 창문을 조금씩 넓히기 시작한 건 20세기 들어서다. 전파를 천문학에 이용하면서 우주배경복사를 보게 됐고, 적외선으로 온도가 낮은 별, 자외선으로 온도가 높은 별을 보게 됐다. X선과 감마선은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천체를 보여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활용해 오가노이드가 잘 자랄 수 있는 생체반응로를 만들었다. 이곳에 줄기세포로 작은 뇌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고, 조직이 완전한 성체로 자라는 동안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그 결과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오가노이드는 정상보다 뉴런을 적게 만들었고 조직의 크기도 작아졌다. 이미 알려진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물질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LHC는 원자핵보다 더 작은 입자의 세계를 다루는 기초연구에 특화된 장비다. 반면 중이온가속기는 원자핵에 대한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모두 할 수 있는 ‘멀티 플레이어’다. 많은 과학자들이 중이온가속기에 주목하는 이유다.올해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방해 새로운 로봇 팔 골격을 설계하고 있다.기계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일체형의 작은 장치로 바꾸는 연구도 활발하다. 인공 와우나 인공 망막은 마이크로폰이나 카메라로 수집한 정보를 생체가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전기 신호로 변조해 청신경과 시신경을 자극한다. 이 과정을 담당할 ... ...
이전240241242243244245246247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