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식물이 자라는 것처럼 작은 뫼비우스 띠 하나가 점차 커지도록 크고 작은 뫼비우스 띠 여러 개를 만들어 엮고 있지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제가 의도치 않았던 토러스가 다양하게 생긴다는 거예요.”김주현 작가의 작품에 위상수학이 파고든 건 2008년부터다. 고등학생인 딸을 따라 ...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쾨니히스베르크에는 프리겔이라는 아름다운 강이 흐르고 있었지요. 이 강에는 두 개의 작은 섬이 있었고, 두 섬과 육지를 연결해 주는 다리가 총 일곱 개 있었어요. 지금 보고 있는 것처럼 이 도시는 경치가 좋아 많은 사람들이 강 위로 놓여 있는 다리를 건너며 산책했지요.”“네 맞아요. 저도 ... ...
- [과학뉴스] 호암재단, 6월에 노벨상 수상자 초청 강연회 열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다른 단백질에 달라붙으면 세포의 쓰레기처리장인 프로테아좀이 활성화돼 단백질이 작은 조각으로 분해된다. 노벨상 위원회는 유비퀴틴의 이런 작용을 ‘죽음의 키스’라고 표현했다.치에하노베르 박사는 지금까지 꾸준한 기초 연구를 강조해왔다. 이번 강연에서도 40년 동안 자신이 연구를 ... ...
- [과학뉴스] 코끼리주둥이고기의 어안 렌즈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빛을 증폭시켜 포식자를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준다.연구팀은 이와 유사하게 반구 모양의 작은 결정들을 이어 붙여 인공눈을 만들었다. 인공눈은 기존보다 네 배 이상 빛에 민감했다. 기술적으로 렌즈를 바꾸거나 센서의 감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빛에 대한 민감도를 높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 [과학뉴스] 우주여행 전성시대? ‘솔라 세일’에 맞서는 전자기장 돛단배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팀은 E-Sail의 효율적인 단면적을 계산했는데, 1AU를 가는 경우 서울 면적보다 작은 600km2, 5AU를 갈 때는 LA와 비슷한 1200km2 였다.속도도 훨씬 빠를 전망이다. 연구팀은 E-Sail을 이용해 장거리 우주여행에 걸리는 시간을 3분의 1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다. 1977년 발사된 태양계 무인탐사선 ‘보이저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픽터스 캣피시’라고 불리는 종이에요. 평균 몸길이가 11cm 정도로, 메기 중에선 작은 편에 속한답니다. 다른 메기들과 마찬가지로 긴 수염을 자랑하지요. 이 수염은 마치 곤충의 더듬이처럼 주변의 먹이나 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해요.또한 저는 주로 늦은 밤에 먹이를 찾아 나서요. 붉은지렁이,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_다시 보는 원주율과 원의 넓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 있습니다. 구분구적법이란 평면도형의 넓이나 입체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 충분히 작은 n개의 기본 도형으로 세분하여, 그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의 근삿값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다음은 원을 잘게 잘라 평행사변형이 직사각형이 될 때까지 한없이 잘라 붙여 원의 넓이를 구하는 구분구적법의 한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주변에서 아주 작은 테러 사건이 벌어져 하루 동안 경찰들의 검문이 진행된다. 검문은 문제가 없다면 2분만에 끝나지만 P%의 확률로 D분간 지연될 수 있다. 학교에 가기까지 얼만큼의 시간이 걸릴까?’기자가 컴퓨터공학 학부 시절 기말 고사 시험에는 종종 이런 문제를 직접 프로그래밍하는 과제가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된다. 2002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해 지금까지 5000명가량이 등록됐다.실무자가 10명뿐인 작은 조직에서 전담자 한 명을 포함해 총 네 명이 관리에 참여하고 있을 정도로 브릭에서 한빛사의 비중은 크다. 실무진은 무려 180개 학술지에 올라오는 논문들을 주기적으로 검색한다. 저자의 이름이 한국인으로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우습기에 더 가련하다. 이미 저 푸른 바다 밑에서는 부유하던 플랑크톤은 모두 사라지고 작은 물고기를 큰 물고기가, 큰 물고기를 더 큰 물고기가 잡아먹는 아비규환만이 남아 있을 뿐일 것이다.머지않아 모두 사라지리라.인간 세상도 마찬가지다. 아직은 남은 자원들―아직 죽지 않고 남아 있는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