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발로 느끼는 숨 막히는 절경 그레이트 오션 워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등 프로그램들이 즐비하다.대부분의 여행자들이 열심히 일해 온 심신을 달래기 위해 먼
길
을 떠나면서도 그 바람에 급하게 많은 것을 지나쳐 오는 것은 아닌지…. 올 여름 휴가는 한 발 한 발 천천히 걸으며 숨이 막히도록 아름다운 자연을 즐겨보는 것은 어떨까.그레이트 오션 워크에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섞여 있는 부표는 동서남북의 방위를 표시할 때 쓴다. 붉은색+검은색 부표는 막다른
길
을 뜻하고 붉은색+흰색 표식은 안전 지역을 나타낸다.광파표지에도 비슷한 규칙이 있다. 방파제 좌측에 있는 등대(혹은 등탑)는 흰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녹색 불빛을 낸다. 우측에 있는 등대는 붉은 색으로 칠하고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머지않아 유리창 너머로 보이는 도로 위에 화살표가 그려져
길
을 안내하는 ‘증강현실 네비게이션’이 펼쳐지고 보행자가 뛰어들면 ‘주의’ 표시가 생기는 것도 가능해질 것이다.노인시설의 안내 표시노인들의 시선은 위쪽보다는 아래쪽에 더 많이 가 있다. 따라서 ... ...
이공계 중점대학 진학의
길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진학을 희망하는 많은 중고생들은 입시의
길
목에서 일반대학과 이공계 중점대학의 갈래
길
을 두고 고민에 빠진다. 특히 과학고가 아닌 일반고 학생들에게는 이공계 중점대학에 대한 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게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이공계 중점대학에 진학할 경우 어떤 혜택이 있으며, 입시를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물론 도로 이쪽 편에 있는 집을가는데 대면보행을 하려고
길
을 건넌 뒤 이동하고 다시
길
을 건너는 수고를 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차를 등지고 걸을 때 교통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대면통행만 잘 지켜도 사고를 20%나 줄일 수 있어요.” 유 박사는 조금 귀찮더라도 안전보행 습관을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로봇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꿈꾸는 로봇의 미래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지식의
길
을 묻다’ 5회에서는 응용과학의 최고봉으로 불리는 로봇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알아본다. 과연 현재의 로봇은 어느 수준에 와 있을까. 왜 로봇의 발전은 SF속의 모습을 따라잡지 못하는 것일까. 로봇공학의 ... ...
첨단 과학 이끄는 대형 연구단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연구소는 축구장 20개 정도에 해당하는 부지에 있다.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하는
길
이 205m의 선형가속기동과 지름 450m의 원형 저장링동으로 이뤄진 3세대 방사광 가속기를 보유하고 있다.흔히 ‘빛 공장’이라고 부르는 방사광 가속기는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해서 방사광을 만드는 시설이다. ... ...
과학동아 열혈독자의 즐거운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것. 독서를 워낙에 좋아하는 데다가 과학과 글쓰기를 익히는 데는 독서만큼 좋은
길
이 없다고. 신문에서 과학기사를 눈여겨 읽고, 과학잡지를 즐겨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글쓰는 연습은 많이 하지 못했어도 책은 꾸준히 읽어 왔어요. 책과 잡지를 많이 읽으면서 저도 모르게 글쓰기 실력이 ... ...
발자국이 쿵쿵~, 공룡이 깨어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발자국은
길
이가 80㎝가 넘고, 폭도 60㎝ 가까이 된다. 이 정도 발자국을 가진 공룡은 몸
길
이가 최소 5~6m에서 최대 12~14m 정도다.나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람들이 발자국 화석만 가지고 내가 살았을 때의 동작, 특징, 주변 환경을 족집게처럼 맞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아직 연구가 다 끝나지도 ... ...
PART 3 똑똑한 곤충의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길
을 찾아갈까? 부지런한 곤충의 상징 개미는 페로몬이라는 냄새 분자를 떨어뜨려
길
을 찾는다. 그런데 개미 중에 독특한 개미가 있으니 바로사막에 사는 사막개미다. 사막은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고, 앞뒤 좌우를 둘러봐도 모래밖에 없어 방향을 감지할 지표를 찾을 수 없는 열악한 곳이다.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