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점과 선의 그림, 그래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활용폭설이 내렸을 때 제설차는
길
을 무작정 돌아다니며 눈을 치우기보다 미리 동네
길
을 그래프로 나타낸 뒤, 한붓그리기를 이용해서 경로를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슷한 예로 택배회사에서는 물류창고에서 택배회사 지점으로 물품을 배달할 때, 각 지점과 물류창고를 점으로, 연결도로를 선으로 ... ...
인터월드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다리 달린 탱크 같았는데, 아마 다른 어떤 인간보다도 강할 것이다. 그는 한번 내게
길
고 강한 힘줄을 만드는 방법에 관해, 그리고 골밀도를 높이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했다. 내가 아는 것은 조셉은 나보다 두 배나 크며, 뒤로 넘어지더라도 자빠지자마자 본능적으로 벌떡일어날 만큼 강하다는 것이다 ... ...
토네이도가 온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같이 작은 정삼각형의 한 변에 같은 크기의 정삼각형을 거꾸로 그리고 다시 한 변의
길
이가 $\frac{1}{2}$인 정삼각형을 그린다. 이 과정을 반복해 그린 뒤 세 가지의 색을 선택해 칠하면 바람개비 모양의 아름다운 나선이 생긴다. 이 모양은 2002년 한일월드컵 공인구인 피버노바의 불꽃 무늬를 ... ...
세상만사 둥글둥글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값이랍니다. 그래서 원의 지름에 π배를 하면 원둘레의
길
이를 구할 수 있어요.원둘레의
길
이 = 원의 지름 × π사랑 : 그러면 앞에서 동전이 굴러간 거리는 2cm × π = 2π cm가 되겠네요. 3cm짜리 동전이라면 3π cm겠지요.선생님 : 맞았어요. 이제 선생님이 간단한 퀴즈를 하나 내겠어요. 여기 동전 두 개가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도전할 누군가가 필요하단다. 그 일을 네가 맡아 줬으면 좋겠구나.” 황산사의 깊은 눈
길
이 지오를 보았다. 순간 지오는 온몸으로 오소소 돋아나는 소름을 느꼈다. 알 수 없는 두려움에 가슴이 자꾸 방망이질을 했다. 무언가 아주 큰일에 자신이 말려들고 있다는 예감에 지오의 몸은 부르르 떨렸다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생생한 우주인 훈련 이야기를 들려 줬지. 그리고 꼭 우주에 가는 것만이 우주인이 되는
길
은 아니라는 사실도 말해 줬어. 각자 다양한 방법으로 우주인이 될 수 있다니! 고산 형과의 생생한 인터뷰를 보면서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우주인이 되는 그날을 함께 꿈꿔 보자!왜 우주인에 ... ...
안정한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신호등을 기다리다가 문득 오른쪽 바닥에 그려진 화살표가 눈에 띈다.
길
건너편에서 건너오는 사람의 오른쪽 바닥에도 화살표가 그려져 있다. 좌우대칭이나 상하대칭은 아니지만 뭔가 대칭적인 구조다. ‘우측통행’ 스티커도 마찬가지다. 계단을 올라갈 때나 내려갈 때 언제나 스티커는 오른편에 ... ...
작전명령 ① 대포를 정확하게 쏴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축구를 잘 한다 : 축구는 수학이다 PART Ⅱ 수학으로 월드컵을 예측한다 : 누가누가 이
길
까? 전쟁에서 꽃 피운 수학 작전명령 ① 대포를 정확하게 쏴라!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작전명령 ③ 최선의 방법을 찾아라! 작전명령 ④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 ...
거꾸로 오르는 경사로가 있다? 없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보이는 기하학적인 착시를 이용한 것입니다. 가운데가 낮은 경사로지만 각 기둥의
길
이와 각도를 조절하면 특정 방향에서는 마치 가운데가 높은 것처럼 보이는 것이지요.이러한 착시 연구는 눈의 기본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시각과 관련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중요하게 쓰입니다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떠난 나로호가 어떻게 분리되고 어느 순간에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지 눈으로 확인할
길
이 없다. 이륙한 지 수십 초만 지나도 로켓은 하늘을 뚫고 올라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항공우주일러스트레이션이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을 낱낱이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