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좋은 곳 어디에나 함께해 줘~!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참으로 멋진 이름이 붙었다. 7번 국도와 반대로부산에서 남해와 서해안을 따라 가는
길
도 아름다운만큼 7번 못지않다. 그래서인지 이 도로의 이름은 77번국도다. 총 연장 1288k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국도기도 하다.기업에서도 숫자 7은 가장 좋은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K7이나 SM7은 같은 회사의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하류 10m 지점에 920m
길
이의 잠실 수중보를, 1987년에는 김포대교 바로 아래에 1007m
길
이의 신곡 수중보를 지었다. 두 개의 수중보에 막힌 한강은 마치 물그릇과 같은 구조가 돼 물이 항상 최소 2.5m 이상의 깊이로 가득 차 있게 됐고, 300t급 유람선이 떠다닐 수 있게 됐다. 하지만 한강은 1970년대까지만 ... ...
바다 밑 생명체 대왕 오징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대왕 오징어의 사체가 종종 발견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포항에서 몸통만 1.8m, 전체
길
이 7.7m의 대왕 오징어가 파도에 떠밀려 와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수심 300~600m의 심해에 살던 대왕 오징어가 먹이를 따라 얕은 바다까지 올라왔다가 힘이 빠져 파도에 떠밀려왔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불구하고 진화론은 여전히 ‘절대원칙’에서는 탄탄한 입지를 자랑한다.‘지식의
길
을 묻다’ 4회에서는 오늘날 모든 분야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진화론의 가치에 대해 알아본다. 진화론은 인류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진화론을넘는 궁극의 학문은 무엇일까에 대해 각계 전문가의 이야기를 ... ...
독 있는 타란툴라,
길
이 4m 보아 뱀, 애완동물로 어떠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쥐를 팔기도 해.보아 뱀 : 흥! 뱀이라면
길
이도
길
고 몸통도 거대해야지. 난 다 자라면
길
이가 4m나 되 몸통도 웬만한 성인이 두 손으로 원을 만든 것 이상으로 굵어.사회자 : 허어억, 보아 뱀이 여기 웬일입니까? 당신도 애완동물인가요?보아 뱀 : 물론이죠! 저를 키우려면 저런 작은 우리 따위로는 안 ... ...
아마존 숲 사라지면 말라리아 발병 늘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사라지고 있다. 농경지를 만들기 위해 숲에 일부러 불을 내고 벌목한 나무를 옮기려고
길
도 뚫고 있다.논문의 공동저자인 미국 넬슨연구소 사라 올슨 박사는 “말라리아 전염병을 유발하는 주요 생태학적 원인 중 하나가 산림파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고 말했다.파츠 교수는 “인간이 아마존을 ... ...
비타민C로 만든 전기 맛 한번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내시경도 그렇다. 지난 5월 16일에는 박종오 교수가 이끄는 전남대 로봇연구소가 지름 1mm,
길
이 5mm의 원통형 마이크로로봇을 만들어 돼지의 혈관에 넣고 원격으로 조종하는 데 성공했다. 이 로봇은 혈관 속을 돌아다니면서 막힌 곳을 뚫거나 혈전을 녹이도록 설계됐다. 이 교수는 “현재는 로봇 ... ...
주어진 여건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자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는 경우가 많다. B학생은 직업으로서의 ‘의사’에 대한 현실을 일찌감치 알고 자신의
길
이 아니라 판단했지만, 아직 새로운 꿈을 발견하지는 못한 상태다.“책은 많이 읽니?”“아뇨. 책을 많이 못 봤어요. 학교에서 주로 문학 책을 권해서 관심이 덜 가더라고요.”“책을 많이 안 접해서 네가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가상의 세계를 현실에 더해 준답니다. 가이딩 라이트를
길
에 비추면 화살표 모양이 나와
길
을 잃지 않고 목적지를 찾을 수 있게 안내해 줘요. 그림을 비추면 그림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지요. 가이딩 라이트 안에 가상 애완동물이 함께 산책을 할 수도 있답니다. 대화를 넘어 소통하다.가상현실 ...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한국-러시아 공동조사위원회가 1단 로켓의 폭발 원인을 찾고 있다.이처럼 우주로 가는
길
은 험난하다. 수많은 인공위성을 갖고 있는 우주 선진국도 초기에는 실패를 많이 겪었다. 이제 고작 두 번 실패해 놓고 실망하기에는 이르다. 다만 나로호의 실패를 두고 기초과학에 꾸준히 투자해야 한다는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