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 ...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52km로 위도의 1도를 60등분한 거리의 평균값이다. 지구가 완전히 둥글지 않고 가로가 조금
길
기 때문에 생기는 거리의 차이를 평균낸 것이다. 배가 가는 항로를 표시한 지도는 km보다 ‘해리’라는 거리를 많이 쓴다. 배의 속도를 노트로 쓰는 것도 해리로 표시된 지도를 이용하는 데 편리하기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파장보다 작아질 수 없다는 고전적 진리(?)가 깨졌다. 스위스 연방공과대 연구팀이
길
이가 30μm, 높이가 8μm인 마이크로 크기의 레이저(공명기)에서 파장이 200μm인 빛을 만든 것. 올해 ‘사이언스’ 3월호에 발표된 이 연구는 공명기 대신에 인덕터와 2개의 축전지로 이뤄진 전기적 공진기 회로를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년 동안 진화하며 아미노산 20종을 가지고 다양한 단백질을 만들어온 리보솜이 사람의 손
길
로 불과 수십 년 만에 새로운 방향으로 초고속 진화를 하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발음해서 벙글벙글(bungle bungle)로 불렀다고 한다. 벙글벙글로 들어가는 입구는 세 갈래
길
로 나뉜다. 가장 빨리 다녀올 수 있는 대성당 협곡은 걸어서 1시간 거리에 있다. 협곡을 향해 걷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미로에 들어온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협곡 위로 보이는 청명한 하늘과 협곡 아래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더디다, 성공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 경제성이 없다 등 제각각이다.‘지식의
길
을 묻다’ 3회에서는 ‘인류의 미래에너지는 무엇일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해본다. 석유의 시대는 과연 종말을 맞이한 것인지,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는 어떤 조건을 갖춰야 할지, 현재 거론되는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때 하늘의 별들은 1년에 50″(1″는 3600분의 1°) 정도씩 황도(천구 상에서 태양이 움직이는
길
)를 따라 동쪽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이 세차운동 때문에 오늘날 춘분 저녁에 보는 밤하늘과 약 1400년 전의 신라시대 사람들이 춘분 저녁에 봤을 밤하늘은 차이가 있다.계산을 통해 신라시대부터 ... ...
첨단 과학과 예술이 만나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 코르디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내밀기도 하고, 바닥에 깔린 조개들이 흩어졌다 모이기도 하는 ‘센시티브 플로어’가 발
길
을 붙잡는다.문 쪽 벽면은 아예 커다란 그림으로 꾸며져 있다. 해양을 주제로 하는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코르디움 갤러리다. 오늘 전시된 작품은 해양생물인 해마와 육지동물인 말이 주인공인 아크릴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신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었다. 이런 의도를 해석해보면 007기는 첩보기가 아니며 다만
길
을 잃고 사할린에 들어갔다고 인정하는 식이다. 하지만 민간인이 사용할 수 있던 신호는 오차범위 300m 정도였다. 지금처럼 오차범위 20m 수준까지 줄여준 것은 2000년 5월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민간 GPS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