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의 과학자 키우는 전세계 화학인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고 한 어느 정년 퇴임교수의 칼럼을 본 적이 있다.국제화학올림피아드의 참가 성적이
곧
참가국의 화학교육 수준을 나타내는 것은 물론 아니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친 고교평준화 시책 및 대입 학력고사의 여파로 기초과학 과목의 경시 풍조가 만연되고 변질된 과학교육방법에 의해 중·고생 과학 ... ...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것이다. 댐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비가 와도 무방비인 경우 조금 비가 많이 오면 그것은
곧
바로 홍수가 된다. 그러나 비가 오더라도 이를 다스릴 수 있는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다면 웬만한 비는 홍수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정보도 마찬가지다. 정보가 아무리 많더라도 이를 잘 담아두고 우리가 이를 ... ...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있다. 일시적으로 들어온 수놈은 잠깐동안 머물다가 분화구에서 탄생한 수놈에 의하여
곧
축출되었다. 게다가 분화구 내에서의 근친번식 성공률은 수컷 6마리의 협력관계 구축으로 인해 매우 높은 편이었다. 이 수컷들은 1976년에서 1984년까지 8년동안 전 분화구 밑을 완전 장악했다. 이로써 그들은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했어요. 하지만 분류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생태연구를 결코 수행할 수 없음을
곧
깨닫게 되었습니다.정홍채…요즘에는 대학의 생물학과에서도 분류를 그리 중요하게 취급하지 않는 추세예요. 그저 개념 정도나 배우는 상태이니까요. 저도 사실 이번 탐사를 마치기 전까지만 해도 분류학을 한물간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기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사진까지 스캐너의 도움으로 입력된다고 한다. 이는
곧
포스데이타에서 제품으로 출하될 예정이다.또한 상공부와 한국과학재단의 후원으로 연간 6억원의 예산으로 국산 펜컴퓨터가 개발되고 있다. 크기는 A4 용지, 무게는 2㎏ 정도이며, 모든 입력을 펜으로 한다는 것이 ... ...
1 우리도 우주산업시대 저궤도 위성에 눈을 돌려라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것도 국내 개발 없이 외국에서 전량 도입하게 되면 초반은 쉽게 진행될지 몰라도
곧
기술 예속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 자명하다.우리가 나가야 할 오직 한 길은 독자적인 위성시스템을 자력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서비스분야와 함께 제조개발 분야를 함께 추구 해야 한다. 세계 각국의 ... ...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발사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더더욱 그러하다.사실 1백억원(각종 시설비포함) 가까이 돈을 들여 쏘아올린 위성이
곧
행방불명됐다면 많은 사람들은 어처구니 없어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과학실험위성 하나 성공하자고 이만한 돈을 들인 것은 아니다. 말 그대로 이번 것은 실험위성에 불과하다. 우리별의 제작과 발사 그리고 ... ...
신형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더 선명한 세상을 보게 해 주었으나 각막 중심부로 눈물이 도달하지 못하게 했다. 따라서
곧
각막이 건조해져 눈이 퉁퉁 붓고 시려왔다. 그 결과 연속 착용시간도 기껏해야 12시간 정도로 제한됐다.그러다가 1971년 새로운 유형의 콘택트렌즈가 소개됐다. 하이드로겔(hydrogel)이라고 하는 물을 흡수하는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위상공간에서의 변환을 통하여 예측불허의 새로운 물리계를 창조적으로 생성하게 한다.
곧
이어 새로운 끌개를 형성하여 또다른 형태로 끊임없이 변화시켜 나간다. 조물주는 슈퍼컴퓨터같은 정확도 신속도 신뢰도 보다는 혼돈이 제공하는 창의력과 적응력을 인간의 두뇌에 이식한 것이 분명하다 ... ...
「무공해 녹색낙원」가꾸는 독일의 환경 교육·환경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모색환경교육의 장은 이곳만이 아니다. 각 도시마다 마련되어 있는 자연 박물관이
곧
교실이 된다.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 및 동물들의 이름을 익히고, 이들이 살아가는 환경을 익히고, 환경을 변화시켜온 기술에 대해서도 배운다. 보고 듣는 것에서 나아가 이제는 직접 환경을 조성하여 그 변화를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