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멀리있는 실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반면 월슨 산의 망원경은 인간의 우주에 관한 사고를 돌이킬 수 없도록 바꾸어 놓았다.
곧
이어 안드로메다 외의 다른 '성운'들이 은하계 저 멀리서 관찰되었던 것이다. 우리의 은하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갑자기 우주는 그 누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거대해졌다.기술의 진보는 인간이 저밖에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같이 바뀐다. (그림5)에서 알 수 있듯이 초승달은 초저녁 서쪽 하늘 낮게 떠 있다가
곧
진다. 달은 매일 약 50분씩 늦게 뜨게 되므로 초승달보다 며칠 뒤 뜨는 상현달은 초저녁에 남중하고 마침내 보름달에 이르러서는 초저녁 동녘 하늘에 뜨게 된다. 추석날 저녁 온가족이 모여 앉았을 때 보름달이 ... ...
몸무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주로 전파됐다. 자포자기의 심정에서 정반대로 마구 폭식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곧
후회막급이다. 구토를 하거나 이뇨제 설사제를 복용함으로써 다시 체중을 줄이려고 인간 힘을 쓰는 것이다. 물론 이 과정은 또다시 반복된다.뚱보는 먹는 것을 줄이는 것보다 운동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 ... ...
(2) 유전병 치료의 새 시대 열어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따라서 이 복제원은 복제는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염색체를 분리시키는 데에는 솜방임을
곧
알게 되었다.그후 1980년에 미국 산타바바라 소재 캘리포니아주립대학의 클라크(Clarke)와 카본(Carbon)이 효모의 동원체를 찾아냈다. 동원체를 포함하고 있는 플라스미드가 세포분열시 거의 완벽하게 (99 %정도) ... ...
(2) 수준따라 음악카드 다양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아직까지 전문가가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계속 기능이 향상되고 있으므로
곧
완성 단계에 이르리라 생각된다.현재 옥소리를 이용한 국민학교 음악교과서의 데이터 작업이 거의 마무리단계에 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것이 완성되면 국민학교 교과서의 곡들이 화면에서는 가사를 ... ...
(1) 한 악기로 오케스트라 효과 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점에서 컴퓨터음악이란 이름을 가졌거나, 다른 이름을 가졌거나 다를 바 없다.
곧
목표를 향한 하나의 수단일 뿐 더 이상의 의미를 둘 필요는 없을 것이다. 또한 컴퓨터음악이 장점만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현재로서도 일반 어쿠스틱 악기들과 이러한 컴퓨터음악의 조합이 기장 바람직하고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서서히 로봇이 퍼지기 시작하여 용접로봇이 70여대 정도 GM으로 팔려나가게 된다.
곧
유니메이션사는 프로그램식 만능 집기인 PUMA(Programmable Universal Machine for Assembly)를 만들어 GM에 판매하게 된다.자동차산업에서 로봇은 엄청난 힘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특히 용접과 열악한 환경의 도장(painting ...
옛 것이 새 것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파이프 속으로 물이 올라가 샤워가 되어 쏟아진다. 페달을 밟으면 운동도 되며, 땀은
곧
샤워로 씻어낼 수 있어 일종의 건강운동기구라 할 수 있다.셋째, 소리가 모터를 돌리는 장치를 들 수 있다. 발명왕 에디슨의 작품으로 소리의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여 바퀴를 회전시키는 기발한 착상이다. ... ...
바퀴벌레와 컴퓨터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통신은 훨씬 수월해져서 컴퓨터는 기막힌 일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곧
이 인공기계는 뇌를 그대로 닮게 될 것이다. 하지만 누구의 뇌가 될까?마이크로칩은 이론적으로는 영원불멸 하지만 열을 받아 파손당하고 힘을 받으면 깨질 수도 있다. 바퀴벌레 한마리는 짓밟힐 수도 있고 여러마리는 ... ...
대덕연구학원도시 구상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대형컴퓨터의 설치 운영은 엄두도 내지 못했다. 그러나 나는
곧
전산조직을 활용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KIST가 그 개척자 역할을 해야겠다고 결심하였다.그런데 당시만 하더라도 이를 담당할 적임자가 없었다. 그때 마침 머리에 떠오른 것이 성기수 박사였다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