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수 있어요.그런데 1980년대 영국의 탐사대가 남극의 오존층에 생긴 구멍을 발견했어요. 이후 위성 관측을 통해 이 구멍이 계속 커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지요.연구 결과 오존층 파괴의 범인은 바로 ‘프레온가스(CFC)’였어요. 프레온가스는 에어컨이나 냉장고의 냉매로 사용되는 물질로, 성층권에서 ... ...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그런데 1505년 항해를 하던 포르투갈의 선원들이 휴식을 취하기 위해 이 섬에 들어왔어요. 이후 모리셔스 섬은 긴 항해에 지친 선원들이 쉬어가는 휴식지가 되었고, 선원들은 도도새를 식재료로 사용했어요. 모리셔스 섬에 새로 발을 들인 건 사람뿐만이 아니었어요. 사람과 함께 쥐나 원숭이 같은 ... ...
- [과학뉴스] 검은 피부로 변신한 바다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공동연구팀은 뉴칼레도니아에서 몸 전체가 검은색인 거북머리바다뱀을 발견했어요. 이후 연구팀은 호주와 뉴칼레도니아 주변의 15개 지역에서 1300마리 이상의 거북머리바다뱀을 조사해 봤지요. 그 결과, 9개 지역에서는 발견한 거북머리바다뱀 중 절반 이상이 검은색이었어요. 주변에 사람이 살지 ... ...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1782년 발명된 이후부터 수많은 사람들을 태우고 하늘을 날아왔어. 지금도 관광이나 레저 스포츠로 기구를 많이 사용해. 하지만 기구는 과학 연구에도 중요한 몸이란 말씀! 어디에 쓰이냐고? 탈것에서 날씨를 관측하는 도구로!‘기구’는 바깥보다 기구 안의 공기를 가볍게 만들어 위로 뜨게 한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새로 생겨나지도 않지요. 그의 이론은 현대 화학의 기초가 됐답니다. 하지만 이후 과학이 발전하면서 돌턴의 원자설도 수정돼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어요. 우선 원자는 더 작은 입자인 양성자, 전자, 중성자로 쪼갤 수 있어요. 또 같은 원자라도 질량이 다를 수 있고, 핵분열 등으로 다른 원자로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때는 밤 하늘의 천체를 기준으로 방향을 파악한다고 알려져 있답니다. 즉, 7월 15일 이후 서울 하늘에서 천체를 볼 수 없게 되자 북한산에 있던 하늘소가 불빛을 따라 도시로 날아온 것으로 보여요. 그 결과 가로등이나 도시의 간판, 밝은 불빛이 모여 있는 인형뽑기방 같은 곳에서 발견됐지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드디어 밝혀지는 보물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올라가는 것을 발견 하면서 화재가 심각하다는 사실이 점차 드러나기 시작했지요. 이후 화재는 점차 심해져 불에 타던 지하 탄광이 무너지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도로들 곳곳이 갈라지며 이 틈으로 유해 가스들이 분출되기 시작했지요. 결국 미국 정부는 1984년부터 주민들을 다른 곳으로 강제 ... ...
- 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줄이 끊어지면 철로 된 두 개의 톱니가 양쪽의 레일에 걸리면서 멈추는 원리지요. 이후 현대식 엘리베이터는 도시의 풍경을 완전히 바꿔놓았어요. 건물 높이가 1km를 넘는 초고층의 시대에 진입하게 됐고, 엘리베이터 또한 이에 맞춰 계속 진화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지구상에 100마리도 남지 않은 뿔제비갈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드러내지 않았어요. 심지어 과학자들은 멸종된 것으로 추측하기도 했지요. 2000년대 이후 조금씩 발견되고 있지만, 여전히 뿔제비갈매기의 번식지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에 단 5곳뿐이에요. 뿔제비갈매기가 지구상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주세요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루리하늘소’를 발견했을 때도 잊을 수 없답니다. 최웅: 하늘소 도감을 출간한 이후 새로 발견한 종인 ‘도깨비하늘소’와의 첫 만남도 생각나네요. 이 종은 처음 만났을 때 도깨비처럼 홀연히 나타난 데다 몸 곳곳에 크고 작은 혹이 나있어 ‘도깨비하늘소’라고 부르게 되었지요. Q. 앞으로의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