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해요. 토끼의 뇌는 이 상태로 영하 135℃의 극저온으로 냉각되어 보관됐지요. 연구팀은 이후 온도를 올려 뇌를 녹인 뒤, 뇌 조직을 납작하게 잘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토끼 뇌의 신경회로가 손상되지 않고 제대로 보존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얼렸던 정자와 난자를 녹여 ... ...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고객을 ‘환자’, 사망한 사람을 ‘잠재적으로 살아 있는 자’라고 부른다. 이후 환자의 시신을 알코어 본부로 옮겨요. 알루미늄 관에 눕힌 뒤, 30분 안에 체온을 3℃까지 내리지요. 심장에 연결된 기계로 혈액 등 신체의 수분을 모두 제거하고, 그 자리에는 ●동결방지제를 채워 넣는답니다 ... ...
- 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하지만 2011년 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일어났어요.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지요. 2015년, 정부는 고리 1호기의 두 번째 연장 운전을 검토했고, 지역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영구 정지를 권했어요.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드디어 해류의 흐름을 지도로 나타내 발표했어요. 1992년 맨 처음 미국 싯카에 도착한 이후 알래스카 연안, 알류산 섬 등을 거쳐 전세계로 퍼지는 러버덕의 위치를 기록했지요. 그리고 이 기록을 ‘오스커스(OSCURS)’라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입력해 이동 경로를 추정했답니다. 에베스메이어 ... ...
- 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있지요. 폭염이 빨라지고 길어진 거예요.여기에 열대야가 발생하는 날도 1990년대 이후로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어요. 열대야는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낮은 밤에도 25℃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무더운 밤을 말해요.열대야는 폭염에 의한 피해를 더 늘려요. 한낮에 뜨거워진 몸을 식힐 유일한 시간이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 있다고 생각했지요.이 기체에 산소라는 이름이 붙고 그 성질이 밝혀지게 되는 것은 이후 프랑스의 화학자 ‘앙투안 라부아지에’에 의해서랍니다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있기 때문에, 그 길을 넓히기 위해 암컷 공룡의 쉐브론이 작게 진화했다는 거예요.하지만 이후 골반 뼈나 쉐브론의 크기만 가지고는 티라노사우루스가 암컷인지 수컷인지 구별하는 건 정확한 방법이 아니라는 주장이 나왔어요. 몸집이 크다는 것도 나이가 들어서 성장한 개체의 특성일 뿐, 성별과는 ... ...
- [과학뉴스] 뜨거운 태양 아래서 식물이 화상을 입지 않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결과 강한 빛을 받은 지 1시간 가량 지나자 과산화수소가 식물의 세포핵으로 이동하고, 이후 세포핵에서 과산화수소를 이겨낼 수 있는 유전자가 많이 발현됐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즉, 과산화수소의 양이 많아지자 세포핵 스스로 몸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 거예요.스미노프 교수는 “식물은 ... ...
- 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수 없어서 불이 붙지도 않아요. 1998년에 일본에서 종이 기둥 48개로 첫 건물이 지어진 이후, 지금은 수백 개의 종이 기둥으로 거대한 건물까지 짓는답니다.◀ 2001년 인도에 지어진 종이 기둥 집.종이 기둥은 재활용 종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를 구하기가 쉽고, 다 쓴 뒤 다시 재활용할 수도 있어요. ...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시간과 온도 등의 정보를 기록하면, 모기가 좋아하는 환경 등에 대해 알 수 있어요.이후에는 모기의 피 속 유전자를 분석하는 일이 이뤄져요. 이를 통해 모기의 종류와 모기가 피를 빤 동물, 잠복 병원균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지요. 연구팀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동물에서부터 비롯되는 전염병의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