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덕분이라고 해요. 석유는 땅속에 묻힌 생물의 사체가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만들어져요.
이후
지층 사이를 흐르며 이동하다가 빈 공간인 ‘저류암’에 모이지요. 따라서 저류암은 석유가 스미기 쉬운 사암과 석유가 빠져나가지 못할 만큼 치밀한 이판암이 번갈아 쌓인 형태여야 해요. 아라비아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있는 대표적인 오해 두 가지다. 하지만 개의 사회화 시기는 3개월령 즈음에 끝난다. 그
이후
에 무조건 다양한 개들과 사람을 만나게 한다고 두려운 대상을 좋아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3개월 이상인 개는 두려운 대상에 둔감하게 만드는 ‘둔감화역조건화(Desensitization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걸 밝힌 것이다. 이를 ‘특이점 정리’라고 부른다. 호킹이 24세에 발표한 이 졸업논문은
이후
그의 연구에도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호킹이 이 논문 하나로 물리학계에서 스타덤에 오른 건 아니었다. 특이점 정리에서 자신감을 얻은 그는 빅뱅 우주론과 마찬가지로 특이점 문제가 발생하는 블랙홀에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당으로 변환한다. 이를 에너지원으로 삼아 12월부터 본격 겨울잠에 들어가 이듬해 3월
이후
에 활동을 재개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살던 곳이 아닌 다른 장소로 옮겨 월동한다. 동 씨는 “이맘때부터 개미들의 활동이 굼떠지고 한겨울에는 바위 밑에 웅크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여름보다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갈등과 스트레스를 해소했다. 삶이 편안해지고 여유로워지며 훨씬 행복해졌다.
이후
명상으로부터 얻은 행복을 공유하고자, 10년 동안 명상을 연구하고 KAIST 학생들을 대상으로 명상 수업을 했다. 또한 세계적인 온라인 교육시스템인 ‘코세라’에서 세계인을 대상으로 명상 강좌인 ‘인간완성을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군사용 연구자금이 일부 들어오자, 전쟁을 극도로 싫어했던 그로텐디크는 IHES를 떠났다.
이후
자신이 공부했던 몽펠리에대로 돌아와 1988년까지 교편을 잡았다. 김치와 맺은 인연먼 나라의 수학자였지만, 그로텐디크는 우리나라와도 인연이 있다. 우리의 전통 음식인 김치를 좋아했던 것이다. ... ...
반려견 표정의 시그널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들어 올리는 행위는 주인에게 더 집중하기 위해서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후
2015년에는 타케푸미 키쿠수이 일본 아자부대학교 수의학과 교수도 옥시토신 호르몬을 이용한 실험으로 반려견과 사람의 의사소통에 눈 마주침이 중요하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했지요. 뇌의 시상하부에서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한 마디 해 주세요.저도 초등학교에 다닐 때 를 봤어요. 중학생이 된
이후
와 를 읽었고요. 실제로 이 책을 보면서 과학적인 사고 방식을 익히고 배경 지식을 얻은 게 큰 도움이 됐어요. 과학책을 읽다가 수박씨를 활용할 아이디어를 떠올렸던 것처럼요.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식물 사이보그’를 제작하는 등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본선 진출작으로 선정됐다.
이후
약 3개월간 8개 팀에는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기회가 주어졌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나노종합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과 함께 팀별 주제에 적합한 전문가 멘토와 시설, 비용을 지원했다. 이렇게 제작된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색깔, 질감 등이다. 이런 시각정보들은 다음 단계인 ‘이차 시각 피질(V2)’로 전달되고,
이후
상위신경망으로 옮겨진다. 이렇게 시각정보들이 한 단계씩 이동할 때마다 점점 복잡한 정보의 조합을 감지하는 세포들이 관여하고 뇌는 얼굴을 인식하게 된다. 현재로써는 각 단계에서 시각정보가 어떤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