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공간을 꿰뚫어 보는 눈, 공간지도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수 없었던 새로운 분석이 가능해진다. 데이터가 공간에서 서로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공간 빅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면 한정된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최적의 계획을 단 몇 초 만에 세울 수 있다.효율적인 재난 구조, 똑똑한 SW로실제로 영국의 자선단체 ...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구경시켜 주던 중국 소녀 장메이는 네이든이 문제에 도전할 수 있게 용기를 북돋는다.알을 깨고 새로운 세상으로 나오다“무작위로 고른 카드 20장이 뒷면이 위로 오게 한 줄로 놓여 있다. 게임 방법은 그 중 한 장을 골라서 앞면이 나오게 뒤집는 것이다. 이때, 반드시 바로 오른쪽에 있는 카드도 ...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속지 않고 사는 세상. 그거야. 요즘에는 정보가 너무 많아서 뭐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알 수가 없잖아요. 근데 이제는 그런 정보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게 됐거든. 우스갯소리지만 예전엔 요리도 대충 감으로 했는데, 지금은 온도나 양이나 정확히 재서 한다고.”전국민 아인슈타인 만들기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삶과 무관할 것 같던 고대 지구의 지질 현상이 우리의 일상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5000km를 넘게 달린 우리의 여정은 여기서 끝났다. 다음에는 이 여정에서 만난 하늘의 이야기를 해보겠다.김병수_kimbssss@hot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피부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다. 진료시간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사용할 수 있어요. 바다 속은 압력이 매우 높아요. 대략 10m마다 1기압씩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지요. 고압 환경이 필요한 실험을 하거나,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을 만들 때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답니다. 결국 인공섬이 발달하면 상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해저 도시를 실제로 만날 수 ...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번개와 천둥소리를 연구하고 있었다. 하지만 벼락이 언제 어디에서 떨어질지 정확히 알 수 없어, 명확한 연구 결과를 얻기 어려웠다. 그래서 연구팀은 지난해 7월 특별한 실험을 했다. 직접 인공번개를 만드는 것이다.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벼락을 치게 한 뒤 천둥번개를 연구하려는 목적이었다.이미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화성은 적의 침입을 허용하지 않는 철옹성이었던 거예요! 설마 이번 데이트로 화성을 다 알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겠죠? 이곳의 생활상이나 궁중의식 같은 무형문화재도 살펴봐야 화성이 가진 매력을 더 많이 느낄 수 있답니다. 이를 충족시켜줄 곳이 바로 인근에 있는 수원화성박물관이에요.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섬유를 만들면 빛 손실이 적어서 100km가 넘는 장거리까지 빛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냈다. 그의 연구는 이후 광섬유의 개발을 가속화시켰다. 카오의 노벨상 강연 제목 ‘수 세기 전 과거로부터 온 모래, 미래의 목소리를 빠르게 전송한다(Sand from Centuries Past: Send Future Voices Fast)’처럼, 모래의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제안하겠다는 말이다. 인양업체는 7월 중순에 최종선정된다. 어떤 업체가 뽑힐지는 알 수 없지만, 크레인 사용여부를 주목해서 볼 필요가 있다.마지막 질문이다. 상당한 위험부담을 감수하고, 1000억 원이 넘는 비용을 들여서까지 인양을 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 조금이나마 한을 풀기 위해서다.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종이가 들어오면 이 사람은 매뉴얼을 참고해 글자를 판독한 뒤, 답이 될 글자를 알아낸다. 그대로 따라 그려 문밖으로 내보낸다. 방 바깥 사람은 방 안에 중국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이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즉, 기계가 설사 튜링 검사를 통과하더라도 대화를 실제로 ‘이해’한 게 아니므로 ... ...
이전245246247248249250251252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