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않는 자기장을 이용하면, 뜨거운 플라스마 불새를 가둘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또 있다. 100m 선을 그려서 그 위로 아이들이 달리게 하는 데는 성공했는데, 트랙이 너무 짧다. 효과가 잠깐에 불과한 것이다. 1000m 트랙을 만들어 봤자 소용이 없다. 어차피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플라스마는 금세 뚫고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 원형 궤도 특징 태양에 접근하면 핵에서 가스가 분출하며 최대 100만km에 이르는 긴 꼬리가 생김 단단한 고체 표면을 가졌고 대기가 없음 소행성 하나는 5000조 원소행성궤도변경 임무는 사실 NASA의 다목적 포석이다. 가장 큰 목적이야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일이지만, 그것 ... ...
- [과학뉴스] 키스 10초에 미생물 8000만 개!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생물군집’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인체에 사는 미생물은 100조 개 이상으로, 음식 소화를 돕고 면역력을 강화해 질병을 예방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연구진은 21쌍을 대상으로 구간 내 미생물 분포를 조사한 뒤 실제 키스 실험을 했다. 한 사람에게 유산균 음료를 ... ...
- 일반상대론 100주년 독자설문조사 “물리학의 가장 위대한 발견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2015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기념 독자설문조사에 참여해주세요.투표결과는 2015년 1월호 ‘일반상대성이론’ 특집기사에서 공개합니다.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고를 때 건강을 위해 식초음료를 고를 때도 있다.□ 과일 주스에 ‘생으로 갈아’, ‘100%’라는 말이 있으면 믿고 마신다.□ 놀거나 운동을 해서 땀을 흘리면 물대신 이온음료를 마신다.□ 흰 우유보다는 ‘~맛’ 우유가 좋다.□ 색깔이 예쁜 음료가 좋다.□ 냉장고에 주스나 탄산음료가 항상 있다.□ ...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받는다고 들었는데 우리 사회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완벽하지 않으면 선행이 아닐까100% 선의에서 나왔든 아니든 선한 행동 자체는 분명 좋은 일이다. 그런데 왜 선한 일을 하고도 욕을 먹곤 할까? 가끔은 아예 아무 것도 안 하고 욕도 안 먹는 게 더 낫다는 생각도 든다. 예를 들어보자. A라는 남자가 ... ...
- [과학뉴스] 지구 자기장 역전 100년 안에도 일어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결과, 현재의 자북극(나침반이 북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78만6000년 전 남쪽에 있다가 78만6100년 전 지금의 위치로 갑자기 이동했다는 것을 밝혀냈다. 렌네 교수는 “자기역전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지구의 자기장 세기가 약해져 우주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를 막지 못한다”며 “생명체가 위험에 ...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것이 EGS(Enhanced Geothermal System)입니다. 화산이 없는 곳에서도 지하 수천 m 아래의 온도는 100℃를 넘어갑니다. 이 곳에 물을 저장할 공간(저류층)을 인공적으로 만들고 지열로 물을 끓여서 지상의 발전기를 돌리는 것이 EGS 기술의 핵심입니다. 현재 호주, 미국, 독일 등지에서 EGS 지열발전소가 시험 가동 ...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스포츠와 비교해 축구는 점수가 많이 나지 않는다. 한 경기당 적게는 60점에서 많게는 100점까지 나오는 농구는 슛 성공률을 가지고 개인 기량을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1-0으로 승리한 축구 경기를 가지고 골을 넣은 선수만 팀에 기여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이런 특성은 각 선수의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5D 상영관 ‘폴라리스’도 놓칠 수 없을 거예요~.인류가 우주로 진출한 지는 아직 100년이 채 지나지 않았어요.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해가 1957년,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찍은 건 1969년의 일이니까요. 1903년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가 세계 최초로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