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중성자가 핵융합로와 부딪혀 방사성 폐기물을 만들기는 한다. 하지만 이 폐기물조차 50~
100
년이 지나면 독성이 석탄 화력발전소보다 떨어진다.무한청정에너지를 향한 꿈 - 핵융합의 3단계핵융합은 원전에 비하면 엄청나게 폐기물이 적지만,
100
% 청정한 에너지라고는 할 수는 없다. 이런 한계를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안에는 물이 가둬져 있다. 이 때 가스레인지(외부 에너지 공급)를 이용해 물 온도를
100
℃까지 올린 뒤 가스레인지를 꺼 보자. 물의 온도가 떨어지는 시간은 주전자의 보온 성능과 관련이 있다. 물이 식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는 주전자가 보온 성능이 좋은 주전자다.이 원리를 핵융합 장치에도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석촌호수에 전시됐던 러버덕을 떠올리면 비슷해요. 크기가 훨씬 크긴 하지요. 길이가 4
100
m니까. 하여튼 머리와 몸통 사이에 가느다란 목 부분에서 먼지와 가스가 먼저 분출됐다고요. 이건 기존 예상을 벗어난 일이었어요. 독일 막스플랑크 태양계연구소의 장-밥티스트 빈센트라는 과학자는 ... ...
[과학뉴스] 키스 10초에 미생물 8000만 개!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생물군집’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인체에 사는 미생물은
100
조 개 이상으로, 음식 소화를 돕고 면역력을 강화해 질병을 예방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연구진은 21쌍을 대상으로 구간 내 미생물 분포를 조사한 뒤 실제 키스 실험을 했다. 한 사람에게 유산균 음료를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5D 상영관 ‘폴라리스’도 놓칠 수 없을 거예요~.인류가 우주로 진출한 지는 아직
100
년이 채 지나지 않았어요.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해가 1957년,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찍은 건 1969년의 일이니까요. 1903년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가 세계 최초로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스포츠와 비교해 축구는 점수가 많이 나지 않는다. 한 경기당 적게는 60점에서 많게는
100
점까지 나오는 농구는 슛 성공률을 가지고 개인 기량을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1-0으로 승리한 축구 경기를 가지고 골을 넣은 선수만 팀에 기여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이런 특성은 각 선수의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바깥 행성까지 관찰할 수 있는 망원경을 계획했다. 하지만 이 망원경의 크기는 지름만
100
m. 축구장만한 크기의 망원경이었다. 이는 당시 미국 항공우주국(NASA) 기술로 우주에 쏘아 올릴 수 있는 한계치의 10배나 됐다. 과학자들은 오리가미 전문가인 로버트 랭 박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랭 박사는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고를 때 건강을 위해 식초음료를 고를 때도 있다.□ 과일 주스에 ‘생으로 갈아’, ‘
100
%’라는 말이 있으면 믿고 마신다.□ 놀거나 운동을 해서 땀을 흘리면 물대신 이온음료를 마신다.□ 흰 우유보다는 ‘~맛’ 우유가 좋다.□ 색깔이 예쁜 음료가 좋다.□ 냉장고에 주스나 탄산음료가 항상 있다.□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것이 EGS(Enhanced Geothermal System)입니다. 화산이 없는 곳에서도 지하 수천 m 아래의 온도는
100
℃를 넘어갑니다. 이 곳에 물을 저장할 공간(저류층)을 인공적으로 만들고 지열로 물을 끓여서 지상의 발전기를 돌리는 것이 EGS 기술의 핵심입니다. 현재 호주, 미국, 독일 등지에서 EGS 지열발전소가 시험 가동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정부로부터 6000만 유로(약 8
100
억 원)를 지원 받아 건설 초읽기에 들어갔다”며 “현재 약
100
명의 연구진이 이론과 원자로 설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박사는 “EU 역시 관심이 많아, 소규모 프로젝트 형식으로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아레바 등 프랑스 기업도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고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