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정부로부터 6000만 유로(약 8100억 원)를 지원 받아 건설 초읽기에 들어갔다”며 “현재 약 100명의 연구진이 이론과 원자로 설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박사는 “EU 역시 관심이 많아, 소규모 프로젝트 형식으로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아레바 등 프랑스 기업도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고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960년대에 LED(발광다이오드)가 개발되면서 희망이 움텄다. LED는 이론적으로 전기에너지를 100% 빛으로 바꿀 수 있었다. 노력 끝에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빛의 LED가 잇달아 1980년대까지 개발됐다. 문제는 파란색 LED였다. 파란빛은 파장이 짧고 높은 에너지 준위가 필요해 만들기가 매우 어려웠다.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름부터 구수한 것이 한반도에서 꽤나 오래 살아온 것 같다. 그렇지만 이들도 불과 100여 년 전에 영국에서 온 버크셔의 후손들이다. 우선 우리나라 ‘가축 돼지’의 역사부터 살펴보자.2000년 전 만주지역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재래돼지’는 한반도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하면서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연구진은 이를 바코드로 이용했다.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일주일에 이틀씩, 매회 100~600마리씩 현장에서 개구리를 잡아 옆구리 사진을 찍고 위치를 기록한 뒤 풀어줬다. 일이 끝나면 연구실로 돌아가 컴퓨터에 사진을 올리기만 하면 된다. 다음에 같은 개구리를 관찰하게 되면 계절에 따라 어떻게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점입니다. 일반적인 인쇄기로 찍을 수 있는 가장 미세한 선의 너비는 약 25μm(1μm=100만 분의 1m)에요. 10μm 너비의 십자가를 인쇄하는 기술은 한국조폐공사만 보유한 고급 인쇄술이죠.”히든QR코드를 화장품이나 주류 등의 용기 표면에 인쇄하면 가짜 제품이 유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더불어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고를 때 건강을 위해 식초음료를 고를 때도 있다.□ 과일 주스에 ‘생으로 갈아’, ‘100%’라는 말이 있으면 믿고 마신다.□ 놀거나 운동을 해서 땀을 흘리면 물대신 이온음료를 마신다.□ 흰 우유보다는 ‘~맛’ 우유가 좋다.□ 색깔이 예쁜 음료가 좋다.□ 냉장고에 주스나 탄산음료가 항상 있다.□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5D 상영관 ‘폴라리스’도 놓칠 수 없을 거예요~.인류가 우주로 진출한 지는 아직 100년이 채 지나지 않았어요.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해가 1957년,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찍은 건 1969년의 일이니까요. 1903년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가 세계 최초로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사회생활과 결혼생활을 했답니다.또 미국 뉴스쿨대학교 심리학과 하워드 스틸 교수가 100쌍의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를 했어요. 그 결과, 1~6세 때 아빠가 자주 목욕시킨 아이들의 3%만이 10대가 돼서 친구를 사귀는 데 문제를 겪은 반면, 아빠와 목욕한 적이 없는 아이들의 30%가 친구를 사귀는 데 ...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뒤집어 쓴 사람이 3명을 지목하면 지목된 사람은 24시간 이내에 얼음물을 뒤집어 쓰거나 100달러를 ALS재단에 기부해야 한다. 사회 각계 인사와 일반인이 앞다퉈 캠페인에 참여하면서, 한 달 남짓한 시간 동안 국내 기부자만 1만여 명에 달했다.남은 생애 평생 가위에 눌려 산다‘누구나 한 번쯤 가위에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통해 이루어져. 그런데 세포는 무한정 계속 분열하지 않아. 예를 들어 태아 세포는 100번 정도 분열할 수 있지만, 노인의 세포는 20~30번이 한계란다.이런 횟수를 조절하는 부분이 염색체 끝에 있는 ‘텔로미어’야. 텔로미어는 세포가 분열하면 할수록 점점 짧아져. 텔로미어가 너무 짧아지면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