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바깥 행성까지 관찰할 수 있는 망원경을 계획했다. 하지만 이 망원경의 크기는 지름만 100m. 축구장만한 크기의 망원경이었다. 이는 당시 미국 항공우주국(NASA) 기술로 우주에 쏘아 올릴 수 있는 한계치의 10배나 됐다. 과학자들은 오리가미 전문가인 로버트 랭 박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랭 박사는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후보군이 아직 많다는 것은 앞으로도 수상 소식이 이어질 것이라는 뜻이다. 이 모든 것은 100여 년에 걸친 교육과 투자의 결과다. 외국 바라기로 서양 뒤만 좇지 않고 과감하게 자국의 생각과 힘을 키웠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직 그런 역사가 짧다. 이제 겨우 한두 명의 후보자나 유망주가 나오고 있다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연구진은 이를 바코드로 이용했다.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일주일에 이틀씩, 매회 100~600마리씩 현장에서 개구리를 잡아 옆구리 사진을 찍고 위치를 기록한 뒤 풀어줬다. 일이 끝나면 연구실로 돌아가 컴퓨터에 사진을 올리기만 하면 된다. 다음에 같은 개구리를 관찰하게 되면 계절에 따라 어떻게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점입니다. 일반적인 인쇄기로 찍을 수 있는 가장 미세한 선의 너비는 약 25μm(1μm=100만 분의 1m)에요. 10μm 너비의 십자가를 인쇄하는 기술은 한국조폐공사만 보유한 고급 인쇄술이죠.”히든QR코드를 화장품이나 주류 등의 용기 표면에 인쇄하면 가짜 제품이 유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더불어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정부로부터 6000만 유로(약 8100억 원)를 지원 받아 건설 초읽기에 들어갔다”며 “현재 약 100명의 연구진이 이론과 원자로 설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박사는 “EU 역시 관심이 많아, 소규모 프로젝트 형식으로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아레바 등 프랑스 기업도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고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960년대에 LED(발광다이오드)가 개발되면서 희망이 움텄다. LED는 이론적으로 전기에너지를 100% 빛으로 바꿀 수 있었다. 노력 끝에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빛의 LED가 잇달아 1980년대까지 개발됐다. 문제는 파란색 LED였다. 파란빛은 파장이 짧고 높은 에너지 준위가 필요해 만들기가 매우 어려웠다.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름부터 구수한 것이 한반도에서 꽤나 오래 살아온 것 같다. 그렇지만 이들도 불과 100여 년 전에 영국에서 온 버크셔의 후손들이다. 우선 우리나라 ‘가축 돼지’의 역사부터 살펴보자.2000년 전 만주지역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재래돼지’는 한반도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하면서 ...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점점 품목을 늘려갔다. 2014년에는 약 30개의 식품을 개발했고, 화성에 가던 2030년대에는 100종 이상의 제품을 보유하게 됐다. 우주인들이 여러 해 우주에서만 살아도 먹는 문제로 괴로워하지는 않을 수준이다. 우주식품을 개발하는 과학자들은 “우주식품이야말로 우리나라가 화성에 우주인을 보낼 수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밝혀낸 종이 전체의 0.1%도 안 된다는 소리다. 신종헌터들은 지구상에 박테리아가 100만 종에서 1000만 종 이상까지 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 진핵생물에서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새로운 문'을 발견하는 일이 그래서 박테리아에서는 가능하다. 조 교수가 2004년 23번째 문을 발견한 이후로 지금까지 ... ...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그리고는 그 중 닮은 사람들을 골라 사진을 찍었답니다. 브뤼넬은 무려 12년 동안 약 100여 쌍의 닮은 사람들을 찾아 내 사진을 찍었다고 해요.서로 아무런 연관이 없다고 하는데…, 아무리 봐도 일란성 쌍둥이처럼 닮아 보이죠?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자가 똑같아 서로 똑같이 생겼어요. 서로 닮은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