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해양생물도 7종이나 됐다. 명 소장은 “독도 연안에서 발견된 해양생물은 현재까지
100
여 종을 넘는다”며 “‘독도가 아열대바다가 됐다’는 말도 있지만 아직 이르고 길게 관찰해야 결론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생태지도는 이걸로 끝이 아니다. 해양과기원은 2017년까지 11곳의 생태지도를 더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올해 봄이 시작된 날’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잘못된 거란다.기상청에서 최근
100
년 동안의 관측 기록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계절 변화를 알아 봤더니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어. 봄과 가을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크게 달라지진 않았지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을 처리한다고 가정하자. 백의 자리부터 연산을 시작하는 컴퓨터는 아래 10진법 덧셈표
100
가지 경우 중에서 답을 찾은 뒤, 이를 다시 자릿수에 맡게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같은 연산을 2진법으로 나타내면 ‘1111011$_{(2)}$+11
100100
0$_{(2)}$’로, 2진법 덧셈표 4가지 중에서 찾아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바로 이륙한다. 비행기가 작아 조종사 한 명과 관광객 한 명만 탈 수 있다. 고도
100
km까지 올라간 뒤, 대기권에 돌입하기까지 약 5분간 자유낙하한다. 이 때 안전벨트를 풀고 무중력을 경험하면서 창 밖으로 지구와 우주를 내다볼 수 있다. 총 비행 시간은 약 30분.스페이스십2모선 타고 올라가 공중에 ... ...
혜성,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날고 있다. 동시에 혜성 주변을 돌면서 착륙할 곳을 탐색하는 중이다. 오는 11월에는
100
kg짜리 탐사 로봇 ‘필래’를 착륙시킬 계획이다. 이 혜성은 중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필래는 자체 추력기를 이용해 표면에 접근해야 한다. 만약 성공하면 로제타는 우주탐사 역사상 혜성 표면에 내려앉는 첫 ... ...
색칠게임 했더니 뇌지도가 쓱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국제 연구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시작된 아이와이어 게임에는 이미 세계
100
여 개국 14만 명 이상이 참여해 쥐의 망막 신경을 3차원 지도로 그리고 있다. 게임 속에서 빈칸에 색을 칠하듯 신경세포를 잇는 부분에 색을 칠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신경세포의 연결구조가 3차원 이미지로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속에 남아있는 아주 적은 양의 피에서도 우리는 축제를 벌일 수 있어. 크기가 고작 1μm(
100
만 분의 1m)밖에 안 되거든. 동물 고기를 끓는 물에 넣거나 구워도 어딘가에 우리 동무가 하나라도 살아있으면 전염이 될 수 있다는 소리야. 이 지역에는 단백질 공급원이 별로 없어. 그래서 서부와 중부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버진 갤럭틱의 우주관광 티켓은 우주정거장까지 올라가던 기존 궤도 우주선 티켓의
100
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➌ 작은 고추가 맵다아이러니하게도, 이들이 대기업이 아닌 중소 벤처기업이기 때문에 오히려 성공했다는 평가가 많다. 최기혁 항우연 미래융합연구실장은 “스페이스X나 엑스코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뒤집을 수는 없었을 것이다. 다행히 왜군의 주력 화기였던 조총의 유효 사정거리는 50~
100
m에 불과했다. 이보다 성능이 좋았던 유럽의 머스켓이 ‘적과 얼굴이 마주쳐 눈동자까지 보일 때 사격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전해지는 것을 보면 조총의 사정거리는 더 짧았을 것이다.영화는 관객들의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생겨 집 20여 채가 빨려 들어가고 3명이 사망하기도 했다.정말 지하수가 사라졌다고 깊이
100
m나 되는 구멍이 생길 수 있을까. 땅속은 2.5m 내려갈 때마다 위에서 짓누르는 압력이 1기압씩 증가한다. 지하로 25m 내려가면 10기압인 셈인데, 평소에는 지하수가 이 어마어마한 압력을 버티고 있다. 지하수가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