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스페셜
"
분
"(으)로 총 2,94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거미 송곳니에 맺힌 독 방울
동아사이언스
l
2018.02.17
방어 자세를 유지할수록 독방울이 점점 더 커진다. 깔때기그물거미에게 물린 사람은 15~20
분
내에 발한, 고혈압, 심박수 상승, 구토, 폐 부종 등의 치명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런 깔때기그물거미의 독이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 ...
민간 최초 심(深)우주 탐사용 로켓 ‘팰컨 헤비’ 발사 성공…1단 로켓 3기 중 2기 회수
동아사이언스
l
2018.02.07
가고 있는 스타맨이 보는 우주의 모습도 생중계 하고 있다. 한국 시간으로 오전 10시 20
분
경 카메라에는 아프리카 대륙을 중심으로 지구의 모습이 담겼다. 현재 스타맨을 태운 전기차는 깜깜한 우주를 항해하는 중이다. 라디오로는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고(故) 데이비드 보위의 1969년 히트곡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로 나온다. 물론 야생에서는 사망률이 이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반감기가 훨씬 짧다. 대부
분
은 2~3년을 사는 게 고작이고 지금까지 야생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최장수 기록은 17년이다(여왕). 사망률 두 배 주기 48년 돼야 하지만 논문의 데이터만으로 벌거숭이두더지쥐가 곰페르츠 법칙을 따르지 않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식사를 한 입원환자 세 명의 회장루(소장의 말단인 회장을 인공항문으로 만든 구조)
분
비물에 클로스트리디움을 배양한 결과 RT027은 두 곳에서 treA 유전자가 발현했다. 논문을 보면 클로스트리디움 RT027과 RT078로 인한 병원 내 감염 사건이 표시된 연대표가 있는데 정말 2000년 이후에 사건들이 몰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용액에 담그고 나서 말리자 천이 점점 파랗게 바뀌었다. 이 과정을 세 번 반복하자 충
분
히 짙은 청색이 나왔다. 즉 인디고 제조에서 염색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유해한 화합물이 개입되지 않는 친환경 방법이 성공한 것이다. 물론 이 과정이 당장 산업현장에 적용되기는 어렵다. 연구자들은 논문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컴퓨터에 원하는 동작을 입력하면 로봇팔은 천
분
의 1초 내에 작동한다. 과학자들은 이런 DNA 로봇팔을 하나 또는 여러 개 이어 붙이면 나노물질을 집어 올려 원하는 곳으로 옮기는 일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복구하는 Fancd2 유전자 양쪽이 다 변이형인 생쥐의 경우 염색체 이상이 쉽게 나타난다.
분
열중인 세포의 상태로 염색체 일부에 절단이 일어나 다른 염색체에 붙은 ‘전좌’가 두 곳 일어났다. - ‘네이처’ 제공 한편 세포사멸을 막기 위해 이에 관여하는 p53 같은 유전자를 끌 경우 대신 줄기세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했다. 우유나 커피의 온도가 논문보다 좀 더 높아서인지 10
분
쯤 지나서야 층이
분
명히 보였다. 길고 좁은 유리잔에 우유를 넣고 에스프레소를 쓴다면 어렵지 않게 필자가 만든 것보다 훨씬 그럴듯한 레이어드 라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만든 레이어드라떼로 혼합하고 20
분
뒤 모습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즉 꾸준한 복습만이 공부를 잘 하는 길이라는 말이다. 여기에 하나를 더하자면 잠을 충
분
히 자는 것이다. 잠이 기억을 공고히 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와 더불어 고유망각 과정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이스쿠이에르두는 “진짜 망각은 뉴런이나 시냅스의 폐기 또는 ... ...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7
거리를 주행했고, 평상시보다 밤에 더 많이 자동차를 사용했다. 또한 주행한 거리의 5
분
의 1에는 운전 기사를 제외한 사람이 아무도 타고 있지 않았다. 보통 고령자는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속도가 느리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험 결과 은퇴한 고령자는 실험 이후 저녁 운전을 3배 이상 많이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