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지난 7월 1일 발간한 보고서 ‘브렉시트에 따른 과학기술계 영향과 대응’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중 유럽과 협력하는 사업은 26.4%이고, 영국과의 사업은3.2%에 불과하다(2012년 기준). 미국이 39.4%인 것에 비하면 꽤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납땜과 함께 동시에 이뤄졌다.마지막 조립과정에도 문제가 생겼다. 물건을 실물로 보고 주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부품은 온라인에 표시된 크기와 실제 크기가 달랐다. 특히 조이스틱은 조작이 불가능할 정도로 크기가 작았다. 새로운 부품을 주문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협력이 진화한 이유를 탐구한 윌리엄 해밀턴은 결국 다른 학자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기발한 착상으로 깔끔한 ‘협력의 공식’을 완성한다. 이 공식은 ‘해밀턴의 규칙’이라고 불리며 이타성의 진화를 명쾌하게 설명해 줬다. 그 핵심을 불쌍한 수컷 칠면조의 사례와 함께 알아보자.1963년, 유니버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도 결과만 놓고 보면, 우리 회사로서는 괜찮은 최후였다는 점은 미리 밝혀 두고 싶다.보고서에는 “초기 단계 연구로서 가능성을 밝히고 기반을 구축하는 데 의미가 있으며, 보다 구체성 있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 현실 적용 가능한 결과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단군 이래 계속되어 온 ...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용해 만들어졌어요. 600여 명의 대원들은 복도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포스터들을 살펴보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어벤저스와 스태프 팀들에게 묻고 답하는 시간을 가졌지요.포스터를 준비한 ‘현근성근탐험팀’의 이현근 대원은 “일주일에 두 번씩 늦은 밤까지 수원청개구리를 탐사하다가 동생 ... ...
- [Editor’s note] 올림픽을 맞이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상상할 수 있다면 올림픽을 가볍게 보지 못할 겁니다.어렸을 때 동메달을 딴 선수를 보고 “3등밖에 못 했다”라고 내뱉은 적이 있습니다. 그 말은 들은 아버지는 “저 사람은 50억 명 중에서 3등을 했는데, 그게 대단치 않아 보이냐?”라고 하셨습니다. 전 아무 말도 못했지요.꼭 몇십억 명 중에서 ...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하지만 일상에서는 파란빛을 낼 만큼 뜨거운 물체를 볼 일이 거의 없다. 뜨거운 파랑을 보고 싶다면 우주로 가야 한다. 해지기 전의 붉은 노을은 촛불과 같은 약 2200K이며, 한낮에 뜬 노란 태양은 약 5800K, 가장 밝은 푸른 별인 시리우스는 약 1만K다. 아주 뜨거운 푸른빛의 색온도는 2만 5000K이나 된다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또 충격을 받는다. 손에 들고 있던 책까지 ‘툭’하고 떨어뜨릴 정도였다. 이때 한주연이 보고 있던 책은 ‘트랜스포머’. 만화 동아리 회장 한주연은 아이언맨과 트랜스포머에 빠져 기계공학과 컴퓨터공학을 지원했다. 한주연의 꿈은 교수가 돼서 아이언맨 슈트 연구비를 지원받는 것이다.하지만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따라 문제를 풀었어요. 나중에는 3~4년 위의 학년 수학 문제집도 사다 풀고, 교육방송도 보고 그랬죠. 그러다 보니 수학은 자연스럽게 잘했어요. 그래도 항상 관심이 가는 건 물리였어요. 물리책이나 과학자의 위인전을 보면서 막연하게 물리학자를 꿈꿨어요.”중학교 3학년 시절 전국 중·고등학교 ...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어떤지, 대륙붕이 어디까지 이어지는지, 퇴적층이 얼마나 되는지 조사해 수백 장의 보고서를 제출한다(빙하로 뒤덮인 북극해에 음파를 쏴 깊이를 측정하고 탄성파로 특성을 조사하려면 몇 년의 시간과 수백억 원의 돈이 든다). 이것을 일일이 검토해서 법적 대륙붕을 결정짓는 기준점(FOS)을 정한다.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