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리나라 기업가정신은 몇 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LG전자, SK텔레콤 등 국내 5개 대기업의 직원 187명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수준을 조사한 보고서를 5월 14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분야는 도전정신, 창조성과 혁신성, 리더십, 창업의지, 가치지향 등 다섯 가지로, 각각 7점 만점 기준으로 점수를 매겼다. 조사결과 점수가 가장 높은 분야는 가치지향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움직인 것은 영국이다. 영국 인간 수정 및 배아관리국(HFEA)은 2011년 세 부모 아이에 대한 보고서를 내놓으며 과학적 안정성을 검증했다. 너필드 생명윤리 위원회(Nuffield Council on Bioethics)는 세 부모 아이가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2012년 발표했다. 위원회는 “미토콘드리아를 교체하는 것이 사람의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깨쳤다.지구상에는 수많은 동물과 식물, 미생물들이 있다. 우리는 이들의 겉모습만 보고 존재의 가치를 쉽게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현재 모습은 아이아이처럼 경이로운 진화의 결과다. 생명체들이 수천만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하고 살아남아 있는 데에는 분명 비결이 있다 ... ...
- [Tech & Fun] ‘김여사’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남녀 간의 차이가 없다. 다만 스스로 자신이 얼마나 공감 능력이 좋은지 평가하는 ‘자기 보고’는 차이가 있다(Psychological Bulletin, 94, 100-131). 하지만 남성들에게 상금을 걸고 공감을 하는 과제를 시켰더니, 여성과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도 있다. 남성이 공감을 못한다기보다, 사회가 남성에게 공감할 ...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새로운 형태일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저를 포함해 많은 물리학자들이 빨리 그 실체를 보고 싶어 하지만, 그게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모르죠. 물론 GAIA 위성이 암흑물질의 증거를 발견한다면 표준모형 너머의 물리학을 구축하는 첫 걸음이 될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엇을 찾아야 할지 집중하게 해 ... ...
- [지식] 지구를 향한 발칙한 상상,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드리워지는 모습을 보고 지구가 둥글 거라고 생각했다. 지금은 우주에서 찍은 사진을 보고 지구가 공처럼 둥글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지구는 왜 둥글까? 또는 지구가 다른 모양이라면 우리 생활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엉뚱한 상상! 만약 지구가 도넛 모양이라면?인공위성으로 지구를 찍을 수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질문에 따라 그려야 할 그래프가 달라진다. 만약 운동선수의 기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고 싶다면 꺾은선 그래프, 어떤 기록이 가장 많이 나왔는지 알고 싶다면 막대그래프를 그려야 적절하다. ‘페르미 추정’은 기초 지식과 논리적인 추론만으로 짧은 시간 안에 문제의 답을 추정하는 ...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이 게임을 좋아하는 이유로 단연 음악을 꼽고 있답니다. 초보자는 장애물을 보고 겨우겨우 박스를 점프시키지만, 고수가 되면 쿵쿵쿵쿵 리듬과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끌어당기는 힘인데 중력 아니다?이 게임뿐만 아니라 ‘서브웨이 서퍼’나 ‘쿠키런’, 그리고 이미 소개한 적이 있었던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성분이 커큐민과 화학적인 상호작용을 일으켜 커큐민의 뇌 흡수율을 높여 주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뇌 활동을 활발하게 해 주는 ‘콜린’이라는 물질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하고 몸에서 스스로 만들지만, 음식으로도 섭취해 줘야 하는 물질입니다. 콜린은 뇌혈관장벽을 잘 통과하지만, 혈액 내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만들기도 했다.1637년, 페르마는 아리스메티카의 8번 문제인 피타고라스의 정리(x2+y2=z2)를 보고 있었다. ‘여기서 지수를 3 이상으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라는 발상이 페르마를 사로잡았다. 그는 피타고라스의 방정식을 변형했을 때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해가 없다는 사실을 증명한 뒤 8번 문제 밑에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