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더 많은 선수들이 스포츠 과학의 혜택을 받고, 나아가 국가대표로 성장하는 모습을 꼭 보고싶다”고 말했다. INTERVIEW‘ 컨디셔닝’으로 선수의 마지막 1%를 완성합니다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은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체력 및 기술 점검, 심리 상담, 재활 등의 과학적 지원을 제공하고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하수 처리 기준 등을 종합해 ‘국가별 수질지수 순위’를 정한다. 2008년 1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수질 지수 최하위국으로 파푸아뉴기니, 알제리, 요르단, 나이지리아 등 개발도상국이 꼽혔다. 이들 국가는 수질을 개선할 만한 기술과 인프라가 부족해 마실 물을 안정적으로 구하기가 쉽지 않다 ... ...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연구한다는 게 왠지 낭만적이지 않나요?”잘 늙어야 더 잘 사는 식물남 펠로우가 단풍을 보고 떠올린 연구주제는 노화였다. 가을이 오면 단풍잎은 아름다운 가을색을 띄게 되는데 이는 잎에서 분해된 영양분을 줄기나 뿌리로 보내어 저장하는 이미 예정됐던 노화프로그램의 결과이다. 즉, 잘 ...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하지만 일상에서는 파란빛을 낼 만큼 뜨거운 물체를 볼 일이 거의 없다. 뜨거운 파랑을 보고 싶다면 우주로 가야 한다. 해지기 전의 붉은 노을은 촛불과 같은 약 2200K이며, 한낮에 뜬 노란 태양은 약 5800K, 가장 밝은 푸른 별인 시리우스는 약 1만K다. 아주 뜨거운 푸른빛의 색온도는 2만 5000K이나 된다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또 충격을 받는다. 손에 들고 있던 책까지 ‘툭’하고 떨어뜨릴 정도였다. 이때 한주연이 보고 있던 책은 ‘트랜스포머’. 만화 동아리 회장 한주연은 아이언맨과 트랜스포머에 빠져 기계공학과 컴퓨터공학을 지원했다. 한주연의 꿈은 교수가 돼서 아이언맨 슈트 연구비를 지원받는 것이다.하지만 ... ...
- [수학동아클리닉] 실용적인 비례식과 비례배분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들어 24개의 사과를 3:5의 비로 2개의 상자에 나누어 담으려고 할 때 간혹 학생들은 3:5만 보고 24에 3/5을 곱하기도 합니다. 이런 실수를 막기 위해서는 비례배분에서 기준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 [과학뉴스] 사드 전자파(전자기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논리는 이렇습니다. 미군이 괌에 배치한 사드의 환경영향을 측정해 작년 6월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100m 밖에서는 건강 안전상의 문제가 예측되지 않는다고 밝혔다는 거죠. 또, 레이더를 최대한 낮췄을 때(지표면과 이루는 각도 5°) 일반인 출입 한계인 3.6km에서 전자파가 지면으로부터 315m 위를 ...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어떤지, 대륙붕이 어디까지 이어지는지, 퇴적층이 얼마나 되는지 조사해 수백 장의 보고서를 제출한다(빙하로 뒤덮인 북극해에 음파를 쏴 깊이를 측정하고 탄성파로 특성을 조사하려면 몇 년의 시간과 수백억 원의 돈이 든다). 이것을 일일이 검토해서 법적 대륙붕을 결정짓는 기준점(FOS)을 정한다. ...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열린 국제가속기콘퍼런스(IPAC 2016)에 전세계에서 1300여 명의 과학자들이 참석한 것을 보고 가속기과학의 위상을 실감했다. 실제 가속기 연구소에는 가속기를 이용해서 특정 연구를 하는 과학자보다, 가속기를 설계하고 운용하며 성능을 향상시키는 일을 맡은 연구자들이 더 많다. 세계 최대 규모의 ... ...
- [수학뉴스] “미래 직업 200만 개 중 40만 개가 수학·컴퓨터 분야의 일자리”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이향숙 : 수학의 사회적인 역할에 신경 쓰고 있습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낸 보고서를 보면 앞으로 5년 뒤면 71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해요. 앞으로 새로 생기는 직업은 200만 개 정도인데, 그중 40만여 개가 수학과 컴퓨터 분야의 일자리라고 합니다.수학동아 : 수학이 정말 중요해지는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