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주면 앞을 향해 달린다. 좌회전은 왼쪽에서 짧게 한번만 진동을 준다. 조종자는 개의
위치
와 움직임을 GPS를 통해 정확히 파악한다. 지난해 초 오번대의 실험에서는 개가 명령의 99%를 정확히 수행했다.이렇게 훈련된 개는 마치 로봇처럼 사람이 하기에는 위험한 일에 투입된다. 폭탄 탐지나 약물 추적, ... ...
의료영상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임플란트 수술을 할 때 절대로 손상되면 안 되는 하치조신경과 같은 조직은 반드시 미리
위치
를 확인해야 한다. 이 때 의료영상공학을 이용해 조직을 찾고 경로를 계산한다.영상처리 기술은 산업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다. 산업용 CT를 이용해 제품의 속을 들여다 볼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을 검사하거나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경기처럼, 두 개의 금 이온은 서로 안쪽과 바깥을 번갈아 돌았다. 그리고 서로 안팎으로
위치
가 바뀌는 6개 지점에서 충돌을 일으켰다. 이런 충돌이 순식간에 10만 번 넘게 되풀이되며 가속기 안에는 부분적으로 온도가 4조℃(정확히는 절대온도 K 단위지만, 이 정도 고온에서는 비슷하다)를 넘는 곳이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걸 이용한다(거리 감퇴 모델). 다양한 수식을 사용해 한 영역 내에서 범죄가 발생한
위치
와 거리에 따른 확률을 계산해 범죄자의 거점을 예측한다.한국형 지리프로파일링 시스템인 지오프로스(GeoPros)는 2009년 시스템이 구축돼 2010년부터 쓰이고 있다. 범죄자의 거점으로부터 거리가 너무 먼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하는 지역이 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거대질량 블랙홀은 이 팽대부의 중심에
위치
한다. 그런데 팽대부가 없는 은하도 많이 있기 때문에 이런 은하의 중심부에도 거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할 수 있는가에 대해 아직까지 학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퀘이사는 폭식하고 있는 블랙홀거대질량 블랙홀의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500km에 불과하다. 고도가 매우 낮아 적의 레이더에 잘 걸리지 않는다. 일단 최고점(초기
위치
)에 도달하면 기존 탄도탄과 달리 타원형 궤도를 그리지 않고 이리저리 방향을 바꾸며 지그재그로 날아든다.러시아 군 당국은 2004년 2월 18일 토폴-M의 시험비행에 성공했는데 푸틴 당시 대통령이 직접 나와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알려져 있듯 일벌은 바깥에서 일하다 꿀이 있는 꽃을 발견하면 집에 돌아와 동료들에게
위치
를 알린다. 이 때 사용하는 방법이 잘 알려진 벌춤이다. 엉덩이를 좌우로 흔드는 ‘엉덩이 춤’을 추고 좌우로 빙글빙글 ‘8자 스텝’까지 밟는다. 작고 귀여운 벌이(물론 쏘이면 아프고 때로는 위독해지니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그리며 날아간다. 그렇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탁구라켓과 공이 만나는 타구점의
위치
를 적절히 결정해야 한다.이 때 타구점이 높아질수록 더욱 볼록한 포물선을 그리게 된다. 그러면 공은 높이 뜨고, 예상 낙하지점를 벗어날 확률이 높다. 또한 상대적으로 상대 선수는 공을 치기 쉬워진다. 공이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384변의 정다각형까지 조사해 π=3.141666이라는 정확한 근삿값을 얻기도 했다. 행성의
위치
에 대한 천문관측과 지리학 연구에 쓰이는 수학적 기법과 천문장비 등에 대해 연구했다.중국의 주판이나 인도의 숫자를 비롯한 아시아의 수학과 도구가 서양으로 전해져 수학 발전의 밑거름이 됐다. 그동안 ... ...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 과정에서 종종 패러다임을 바꿀 정도의 결과도 얻었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위치
에 올랐다. 따라서 과학을 잘 한다는 것은 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생각하는 과정을 잘 진행한다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 까닭인지 영재학교나 과학고 입시의 마지막 단계인 캠프에서는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