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현재 상태를 완벽하게 알아도 미래 상태를 확실하게 예측할 수 없다. 입자들이 어떤 위치에 있을 것 같다고 확률적으로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플라스의 악마가 아니라 그 악마의 할아버지라고 해도 미래 상태를 알수가 없다. 지식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세상이 ‘원래’ 그렇기 때문이다. ...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수학동아 l2012년 06호
- 384변의 정다각형까지 조사해 π=3.141666이라는 정확한 근삿값을 얻기도 했다. 행성의 위치에 대한 천문관측과 지리학 연구에 쓰이는 수학적 기법과 천문장비 등에 대해 연구했다.중국의 주판이나 인도의 숫자를 비롯한 아시아의 수학과 도구가 서양으로 전해져 수학 발전의 밑거름이 됐다. 그동안 ...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태풍, 허리케인…, 위치만 다를 뿐 대표적인 열대저기압이다. 인공위성 사진을 보면 회오리 형태의 구름 모양이 선명하다. 이런 소용돌이가 바다 위에만 있을까. 그렇지 않다. 모든 바다 속에는 크고 작은 소용돌이 ‘에디(Eddy)’가 언제나 존재한다. 에디는 크기가 반경 몇 십m에서 100km가 넘는 것도 ...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질량은 938MeV/c2다. 회색 부분은 암흑광자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부분.][미국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토퍼스제퍼슨연구소 전경.]암흑광자로 밝히는 암흑의 힘제퍼슨연구소가 만약 암흑광자를 검출하는데 성공한다면 물리학은 어떻게 달라질까. 고병원 교수는 “암흑광자는 암흑의 힘의 비밀을 밝힐 첫 ...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알려져 있듯 일벌은 바깥에서 일하다 꿀이 있는 꽃을 발견하면 집에 돌아와 동료들에게 위치를 알린다. 이 때 사용하는 방법이 잘 알려진 벌춤이다. 엉덩이를 좌우로 흔드는 ‘엉덩이 춤’을 추고 좌우로 빙글빙글 ‘8자 스텝’까지 밟는다. 작고 귀여운 벌이(물론 쏘이면 아프고 때로는 위독해지니 ... ...
-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이 과정에서 종종 패러다임을 바꿀 정도의 결과도 얻었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위치에 올랐다. 따라서 과학을 잘 한다는 것은 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생각하는 과정을 잘 진행한다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 까닭인지 영재학교나 과학고 입시의 마지막 단계인 캠프에서는 ...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돕는 보조선을 만드는 방법이다.이러한 등분법은 작품을 설계할 때마다 일일이 그 위치를 계산하는 수고를 덜어 준다. 작가들은 등분법으로 설계한 임시 도면을 여러 번 접어 보며, 최대한 실제 모습과 닮아 있으면서도 접기 쉬운 방법으로 펼친 도면을 완성해 간다. 여기에 각 개인만의 창작 기법을 ...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지었다. 또 타원형 지붕은 미국의 국회의사당을 만들 때도 쓰였다. 타원의 두 초점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정당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잘 들리도록 했다. 수학에도 특허를 준다면?수학에서 증명한 정리나 공식도 특허를 줄 수 있을까요? 아쉽게도 수학적인 아이디어나 공식, 정리는 특허법에 의해 ...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액티브 소나는 음파를 발사해서 물체에 맞고 돌아오는 것을 계산해 물체의 모양이나 위치, 거리 등을 탐지한다. 패시브 소나는 물체에서 나는 소리를 듣고 분석한다. 현재 최첨단 패시브 소나 기술은 잠수함의 추진체인 프로펠러 소리만 듣고도 어떤 기종의 잠수함인지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이에 따르면 파동함수는 입자가 어떤 상태를 지닌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가 된다. 입자의 위치가 각각 ‘책상 아래, 위, 5500km 상공에 각각 90%, 9%, 1% 존재할 확률’이라는 식이다. 그러다 관측을 하면 확률함수가 작동하지 않고 한 곳에 100% 존재하는 것으로 바뀐다. 기이해 보이지만, 이 해석은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