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채우도록 DNA단일가닥을 배열한 뒤 그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짧은 DNA가닥들을 배치할
위치
를 설계했다.여기서 잠깐. 나노 뜨개질이 이론은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불가능하다고 말해 놓고서 어떻게 짧은 DNA 가닥으로 긴 DNA가닥을 묶어 고정할 수 있을까. 사실 여기에 나노 뜨개질의 실로 DNA 단일가닥을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중성미자는 이탈리아의 그란사소국립연구소 ‘오페라(OPERA)’ 팀과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
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공동연구 결과다. CERN의 양성자가속기(SPS)에서 쏜 중성미자 빔을 약 730km 떨어진 그란사소국립연구소에서 검출한 뒤, 시간과 거리를 이용해 속도를 구했다. 측정 결과 중성미자가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고리에 끌려 들어가지 않고 생기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게다가 팬과 다프니스의
위치
로 두 위성의 탄생 시기를 계산한 결과, 비교적 최근에 생긴 것으로 드러났다. 팬과 다프니스가 있는 부분의 행성 고리 역시 초기 태양계 시절에 생긴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가설2. 행성 고리의 정체는 깨진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경기도 25개 초등학교에서 영어 교육 시범 서비스를 진행했다. 실버케어 로봇은 노인의
위치
와 행동을 인식하고 혈압이나 맥박 등을 수시로 체크한다. 기억력 감퇴와 치매 등을 막을 수 있는 간단한 게임도 할 수 있다. 전세계의 고령화 추세를 고려하면 실버케어 로봇 수요가 점점 늘어날 것으로 ... ...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바뀐다. 열에너지는 빛의 형태로 밖으로 나타난다. 중력에 의해 연필이 땅에 떨어질 때
위치
에너지가 줄어들면서 ‘딱’ 하는 소리에너지로 전환되거나, 땅과 부딪힌 부분이 약간 뜨겁게 되면서 열에너지로 전환되는 비유가 좋을 것이다. 물론 연필의 경우엔 그 에너지가 너무 작아서 감지하기 ... ...
프로젝트를 ‘장악’하는 힘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들었지만 ‘어떻게’ 프로젝트를 장악해야 하는지 조금은 알 것 같았다.필자는 지금 경영
위치
건축사사무소에서 프로젝트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여전히 일요일에는 선배들과 토론하고 작업한다. 최근에는 국립중앙박물관 앞 버스정거장 설계에 우선 협상작으로 당선돼 개인적으로도 바쁜 ... ...
별이 반짝, 만화도 반짝 박석재 연구위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아주 중요해요. 천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달력이 정해지니까요. 자동차 내비게이션이나
위치
추적에 쓰이는 GPS도 천문학이 바탕이 된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국제 GPS 기준점이 바로 한국천문연구원 앞에 있지요. 최근에는 우주 쓰레기나 인공위성을 추적하는 데에도 천문학이 쓰여요 ... ...
디지털 시대의 눈 건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너무 밝지 않게 적당한 밝기로 해야 해. 그리고 모니터나 TV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위치
에 두고 봐야 눈이 덜 힘들어 한다고겨울에 바깥에서 활동해야 하는 이유가 또 생겼어. 하얀 눈을 보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우리 눈 때문에라도 바깥 활동은 필수인 셈이야. 가끔씩 먼 산과 먼 곳을 바라보는 게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아주 위험하다. 타이어를 개발하는 연구팀은 주로 수학모델을 이용해 홈을 파기 적합한
위치
와 홈의 두께를 결정한다. 안쪽 홈이 가장 넓게 설계 된 것은 그 부분이 배수가 더 잘 돼야 하기 때문이다.➋ 타이어 중간 중간에 작은 홈을 파놓아 타이어 안쪽에 물이 더욱 잘 빠져 나가도록 돕는다.➌ ... ...
착시, 예술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현상을 착시를 이용한 작품으로 표현했어요. 이 작품도 원근착시를 이용해 어떤
위치
에 서면 자동차처럼 보이게 해요. 이처럼 착시는 우리 눈이 어떤 것을 실제와 다르게 보는 현상을 말해요. 정월 대보름달이 지표면에 가까울 때 더 크게 보이는 것도 착시 때문이랍니다. 짧은 터널이지만 끝없이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