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인근 지역의 철광석을 수입해서 만든 것이다. 철은 현대사회의 번영을 가능케 한 근간
물질
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우리 삶과 무관할 것 같던 고대 지구의 지질 현상이 우리의 일상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5000km를 넘게 달린 우리의 여정은 여기서 끝났다. 다음에는 이 여정에서 만난 ... ...
메르스보다 탄저균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오산 한미합동기지에 살아있는 탄저균이 배달됐다. 탄저균은 대표적인 생화학 테러
물질
로 치사율이 80%에 이르고 공기 중으로 전파된다. 고온, 냉동 환경에서도 분말 포자 상태로 10년 이상 살아남는다. 중동에서 들어온 메르스(MERS) 바이러스보다 훨씬 무시무시한 존재인 셈이다. 불필요한 공포심을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화장품 안에는 성장인자 이외에 피부를 개선시켜 줄 많은 화학
물질
이 들어간다. 화학
물질
을 만난 성장인자는 유통기한하고는 상관없이 제작 단계에서 이미 분해돼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화장품 심사는 ‘포괄주의(negative system)’를 고수한다. 포괄주의는 제한이나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부피로 나눈 값으로, 단위로는 주로 g/mL, g/cm3 등을 사용한다. 밀도는
물질
마다 각기 다른
물질
의고유 값이다.일반적으로 밀도의 크기는 고체>액체>기체의 순이다. 그러나 물은 다르다. 액체 상태일 때 밀도가 가장 크고 오히려 고체인 얼음이 되면 밀도가 낮아진다. 물이 얼면서 물분자가 ... ...
스티로폼 볼, 배터리로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아니라 환경에 해로운
물질
이 나와 토양을 오염시켜요. 불에 태우는 경우에도 유해한
물질
이 나오기 때문에 재활용하는 것이 좋지요. 하지만 현재는 사용된 스티로폼의 10%만 재활용 될 뿐이랍니다.그런데 미국 퍼듀대 빌라스 폴 교수팀은 이런 스티로폼 볼을 배터리의 전극으로 활용할 수 있는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갈라지는 모양을 ‘절연파괴’ 현상으로 설명했다. 절연파괴란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물질
의 전기저항이 줄어들면서 갑자기 많은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다. 번개도 원래 전기가 안 통하는 공기에 전류가 흐르는 절연파괴 현상이다.연구팀은 전하가 공간을 움직일 확률을 고려해 번개가 어떤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더 잘 느끼게 된답니다.4 가려움도 전염된다? NO!가려움은 피부 속의 가려움증 전달
물질
이 신경을 자극해 느껴지는 현상이므로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는 않아요. 그런데 간혹 다른 사람의 긁는 모습을 보고 가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어요. 이것을 ‘전염성 가려움증(contagious itch)’이라고 해요.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발견되기도 해요. LED 같은 반도체 소자 대부분도 이종구조로 이뤄져 있어요. 그만큼 2차원
물질
이종구조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답니다.예전의 전 자신감이 없었어요. 단순하고 밋밋한 제 모습과는 달리, 뭔가 있어보이는 3차원이나 4차원 같은 고차원 친구들이 부럽기만 했어요. 하지만 새로운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각도로 휜다. 원래 가지에서 아주 가느다란 줄기가 튀어나올 때는 약 70~90°로 휜다. 루는
물질
을 효율적으로 흘려보내려면 에너지를 최소로 써야 하기 때문에 이런 모양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즉 번개 전하나 하천의 물줄기, 나무뿌리는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길을 택해 뻗어나가는 셈이다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효율적이고 가지런한 모양이라는 것이다.생명체가 자손을 번식하기 위해 꼭 필요한 유전
물질
DNA(디옥시리보핵산)는 두 가닥의 사슬이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모양이다. DNA의 이중나선구조를 보면 유전 정보를 나타내는 염기코드를 감싸려는 듯이 보인다.그런데 왜 DNA는 한 가닥이 아닌 두 가닥으로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