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골반 뼈가 크면 암컷이다?티라노사우루스 뼈 화석에 ‘수’라는 이름이 붙은 배경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어요. 첫째로는 티라노사우루스 뼈 화석을 최초로
발견
한 연구 ... 확실할 테니까요. 더욱더 확실한 특징을 찾을 수 있도록 더 많은 공룡화석들이 하루 빨리
발견
되기를 기대해 봐요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숲으로 소풍을 갔다가 신기한 동물을
발견
했어! 한 발로 막대기를 들고, 빈 나뭇가지를 때리며 북을 치는 것처럼 음악을 연주하는 동물이었지~. 신나는 음악에 나도 모르게 어깨춤을 덩실덩실 췄어. 그런데 이 새는 왜 북을 치는 걸까? 그 이유를 함께 들어 ... ...
[식물 속 동물 찾기] 까치의 날개 문양을 닮은 까치수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까치 날개에 있는 흰 무늬에서 따왔단 얘기가 있지요.여름철 숲에서는 까치수염을 쉽게
발견
할 수 있어요. 까치수염은 땅 속에 묻힌 줄기를 주변으로 뻗으며 번식을 하기 때문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든요. 게다가 작은 꽃들이 아래에서 부터 위로 차례차례 피기 때문에 여름 내내 꽃을 볼 수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것으로 확인됐어요. 미세먼지가 ‘보통’인 날이었지만 생각보다 다양한 화학 성분들이
발견
됐지요.신관우 교수는 “앞으로 대기 환경 조건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성분을 꾸준히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높이별 미세먼지 성분을 밝히면 발생 원인을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앞으로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수 있답니다.# 공룡이 지니고 있는 여러 형태나 구조들은 참 신비로워요. 새로운 화석이
발견
되거나, 첨단 연구 장비로 분석된 결과가 나올 때마다 또다른 해석이 나오고 있거든요. 다음에는 또 어떤 연구 결과가 나와 골판의 기능을 색다르게 해석할까요? 친구들도 기대해 주세요~ ... ...
[쇼킹 사이언스] 빙하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피의 폭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끝내 밝히지 못했답니다.‘피의 폭포’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공포스러운 색깔 때문에 첫
발견
이후 꾸준히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어요. 하지만 그 비밀을 밝히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지요. 1960년대 중반, 미국 위스콘신대 로버트 블랙 교수팀이 피의 폭포 속 철 이온이 산소와 만나면서 빨갛게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갈라파고스 섬으로 여행을 갔다가 처음 보는 새를
발견
했어. 다른 새와 달리 이 새는 몸집보다 훨씬 작은 날개를 갖고 있어. 또, 특이하게도 태양을 향해 날개를 양옆으로 펼치고 있더라고. 이 작은 날개로 하늘을 날 수는 없을 것 같은데…. 도대체 이 새는 왜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들판을 여기저기 뛰는 메뚜기처럼 유전체 안에서 제멋대로 위치를 바꾸는 신기한 유전자가 있어요. 이를 ‘트랜스포존’이라고 하는데, 유전자가 ‘점 ... 것을 알았지요.매클린톡은 이 공로로 1983년에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어요. 그의
발견
덕분에 유전학은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답니다 ... ...
[과학뉴스] 몸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발견
!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원주민 말로 ‘물’이라는 뜻의 ‘야쿠’라고 이름 지었답니다.하지만 이 개구리는
발견
과 동시에 멸종 위기인 것으로 밝혀졌어요. 연구를 이끈 후안 마누엘 과야사민 연구원은 “석유 추출로 인한 수질 오염과 도로 개발 때문에 이 개구리의 서식지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어요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바이오블리츠를 진행한 결과, 선운산생태숲에서 총 836종의 생물이 기록됐거든요. 269종이
발견
된 곤충 가운데에는 국내 ●미기록종인 파리 ‘케로플라티데’가 포함돼 있답니다.●미기록종 : 분류가 되어 있지만, 그 지역에 사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생물.또 식물 319종 중에는 습지에서만 사는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