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Crematogaster vagula)였다. 평상시에는 썩은 나무에 주로 살고, 겨울에 주로 바위 틈에서 발견되는 종이다. 이로써 네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해 겨울 개미를 찾는데 성공했다.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 보시길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래서 발견됐죠.”“아, 그래, 메피스토. 악마 이름이네. 잘 지었다, 야.”“그쵸? 발견한 사람들이 원래는 『네이처』지에 ‘지옥구더기’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내려고 했대요. 거절당했지만요. 하여튼 유머감각이 좀 없다니까요.” “지옥구더기?”“성경에 나와요. 마가복음이었나? 지옥에는 ... ...
- [과학뉴스] 몸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원주민 말로 ‘물’이라는 뜻의 ‘야쿠’라고 이름 지었답니다.하지만 이 개구리는 발견과 동시에 멸종 위기인 것으로 밝혀졌어요. 연구를 이끈 후안 마누엘 과야사민 연구원은 “석유 추출로 인한 수질 오염과 도로 개발 때문에 이 개구리의 서식지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청동상은 그리스·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거라고 해요. 또한 북서쪽의 우르 지역에서 발견된 항아리 유물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유물과 비슷했지요.박상희 선생님은 “이러한 다양한 유물을 통해 아라비아 반도가 기원전부터 메소포타미아와 그리스, 로마와 활발히 교류하던 교역의 ... ...
- [과학뉴스] 베이지색 지방이 칼로리 태우는 새 메커니즘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많은 이들이 ‘지방=살’이라고 알고 있지만, 우리 몸에는 에너지를 태우는 지방이 있다. 바로 베이지색 지방이다. 에너지를 태워 ‘다이어트 지방’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기존에는 추운 날씨에 장시간 노출되면 베이지색 지방세포에 있는 ‘짝풀림단백질-1(UCP1)’이 활성화되며 에너지를 사용해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국토지질연구본부장은 “진앙에서 반경 4km 이내의 약 30군데 지역에서 액상화 흔적을 발견했다”며 “향후 여진 발생 시 액상화 현상이 또 생길지에 대해서는 지반 특성을 면밀히 조사한 뒤에 결론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 더 큰 지진 발생하나일각에서는 향후 국내에서 규모 7.0 수준의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뒤 빠른 시간 내에 제보를 받는 일도 중요하다. 과거에는 몽타주를 붙여놓고 용의자를 발견한 누군가가 제보하기만 기다렸다. 하지만 3D 몽타주 시스템은 범죄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진과 몽타주를 비교해 유사한 인물을 색출하도록 했다. 더 무섭게 더 어리게, 7개 인상 자동 변환“원래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질 수 있을 만큼 의학이 발전했다”면서도 “항바이러스제를 잘 먹어도 정액에서 HIV가 발견되므로, 성관계 시 콘돔을 사용하는 편이 훨씬 안전하다”고 말했다. 치료약 미리 먹어 HIV 감염 예방최근에는 HIV 치료약이 ‘예방약’의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HIV에 감염되지 않은 고위험군에게 감염 ...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값인 0 또는 1을 가질 수 있지요. 섀넌의 정보이론을 토대로 메시지에 들어있는 오류를 발견하기 위한 여러 이론이 발전했습니다. 신호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수학적 코드전달받은 메시지가 처음 모습 그대로인지, 전달과정에서 바뀌었는지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보내려는 데이터에 1이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들판을 여기저기 뛰는 메뚜기처럼 유전체 안에서 제멋대로 위치를 바꾸는 신기한 유전자가 있어요. 이를 ‘트랜스포존’이라고 하는데, 유전자가 ‘점 ... 것을 알았지요.매클린톡은 이 공로로 1983년에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어요. 그의 발견 덕분에 유전학은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답니다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