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바이오블리츠를 진행한 결과, 선운산생태숲에서 총 836종의 생물이 기록됐거든요. 269종이 발견된 곤충 가운데에는 국내 ●미기록종인 파리 ‘케로플라티데’가 포함돼 있답니다.●미기록종 : 분류가 되어 있지만, 그 지역에 사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생물.또 식물 319종 중에는 습지에서만 사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토끼가 좋아하는 먹이 토끼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토끼풀’이라 불린답니다. 잔디밭에서 네잎 클로버를 찾다보면 하얀 토끼풀꽃을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토끼풀은 본래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가 고향인 외래종이에요. 처음엔 가축의 사료로 활용하기 위해 들여온 것이 야생으로 퍼지면서 우리나라 곳곳에서 서식하게 됐지요. ... ...
- [과학뉴스] ‘귀염둥이’ 수달, 수백만 년 전엔 무시무시한 포식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한강이나 도시의 호수 등 도심에서 발견되는 야생동물인 수달은 동물계 대표 ‘귀염둥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고대에는 수달이 지금과 달리 턱이 훨씬 강하고 포악한 육식동물이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잭 쳉 미국 버팔로대 박사팀은 컴퓨터 모델링을 이용해 현존하는 수달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책을 냈다. 그는 트리버스가 발견한 기제를 ‘직접 상호성’이라고 부르면서 자신이 발견한 ‘간접 상호성(indirect reciprocity)’과 구별했다. 보은을 기대하지 않고 행해지는 인간 사회의 대규모 협력은 직접 상호성이 아니라 간접 상호성으로 잘 설명된다고 그는 주장했다. 달리 말하면, 반드시 내가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추정해 복원하거나, 훼손된 부분을 보수하려면 기준이 되는 척으로 가늠해 봐야 한다. 발견된 부재가 척에 맞지 않는다면, 없어지거나 교체된 부분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척은 정수인 경우가 많다. 1척, 2척, 5척, 10척, 50척 등과 같이 설계하는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조사 결과, 미륵사지 석탑은 ... ...
-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불필요해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던 중 일본 여행에서 원목으로 만든 무전원스피커를 발견했다. 무전원스피커라 휴대하기 편했다. 공명의 원리를 이용해 만든 스피커라 크게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점도 좋았다. 그러나 단점도 있었다. 휴대폰으로 음악을 들을 때보다 소리가 컸지만, 웅웅거리는 ... ...
- [과학뉴스] 네이처 지구과학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바뀌면서 기존에 알려진 녹는점보다 실제 녹는점이 200∼350도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규모가 7.0∼8.0인 거대지진이 예상보다 자주 발생하는 이유를 풀 실마리가 됐다. 낮은 온도에서 녹은 석영이 단층면에서 윤활제 역할을 해서 지진의 규모를 키운다는 것이다. 네이처 지구과학의 2016년 기준 ...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영화 속 성별 편향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미국 할리우드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성별 편향이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예진 미국 워싱턴대 폴앨런 컴퓨터과학및공학대 교수팀은 기계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으로 영화 800여 편의 스크립트 속 언어를 분석하고 각 캐릭터에 얼마나 많은 힘과 정보가 제공되는지 정량화했다. 분석 ... ...
- [과학뉴스] 지구 생명체 기원의 ‘미싱링크’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다”며 “이미 우주의 성간 공간의 가스와 먼지에서 인-질소 화합물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으므로 그 물질이 생명체의 단위 분자 출현에 역할을 했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화학’ 11월 6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1038/nchem.287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대처 총리 얼굴임을 인지했지만, 눈과 입의 방향이 사진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대부분의 경우 사진을 다시 똑바로 돌려놓고서야 눈과 입이 위아래가 바뀌었음을 인지했다(doi:10.1068/p090483). 즉, 뇌는 얼굴을 볼 때 눈코입 하나하나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형태를 인지하지만,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