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등 명확한 평가 기준 마련해야 기존에 없던 신기술로 획기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가능
성은 항상 큰 기대를 모으죠. 그렇지만 그 제품의 안전성과 생산 공정의 재현성에 대한 명확한 평가 기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KS, ASTM 등 국내외 표준화 관련 기관들은 적층성형과 관련해 여러 표준을 제안 ... ...
[가상 인터뷰] 기저귀로 집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일회용 비닐봉지가 땅에서 썩는 데는 500년이 넘게 걸려. 그런데 비닐봉지만큼이나 오래 걸리는 게 또 있어. 바로 일회용 기저귀야. 그래서 과학자들은 일회용 기 ... 바트 드완커 교수팀은 “기저귀를 플라스틱, 비닐처럼 따로 분리해 버려야 제대로 된 재활용이
가능
하다”고 강조했단다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통해 새로운 연결을 짓는 일이에요. 인공지능이 그걸 해낸다면 스스로 창의적인 학습이
가능
한 거지요.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이 대학 수학에서 배우는 기본적인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답니다. 인공지능이 수학 증명에서 어느 정도 걸음마를 떼고 있는 셈이지요. 한편으로는 현대 수학이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분석하는 식이다. 데이터 쌓일수록 유전체 의학 강해져 이렇게 전체 유전체 분석이
가능
해진 가장 큰 요인은 유전체 분석 가격 하락이다. HGP 시절 한 명의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위해 들인 돈은 3조 원에 달했다. 이 비용이 2015년 1인당 1000달러(약 130만원)의 벽을 돌파하더니 현재는 거의 200달러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더 큰 착륙선을 달 남극에 보내 착륙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주와 지구 간 물류 운송
가능
성을 엿보겠다는 설명에 발표회장 분위기가 달아올랐다. 아이스페이스의 목표는 2040년까지 달 기지를 넘어 약 1000명이 거주하는 작은 달 마을을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우주 배송, 우주 탐사 관련 데이터 ... ...
[인포그래픽] 화이트바이오, 지속
가능
한 미래로 가는 열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한번쯤은 우리와 접촉했을 텐데, 왜 아직 그러지 못했을까?’ 이후로 외계인의 존재
가능
성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나왔습니다. 먼저 외계인은 없다는 가설입니다. 우주에 우리 뿐이라는 거죠. 실제로 우주의 환경은 매우 혹독합니다. 우주 방사선부터 무중력 등 여러 환경이 생명활동에 악영향을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움직일 수 있는 의료용 로봇 기술을 이용해 장내 미생물 채취용 캡슐, 약물 전달이
가능
한 마이크로 로봇 등을 개발해 왔다. 특히 암 치료를 위해 혈관을 따라 움직이는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외과적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거나 혈관에 약물을 주사하는 현재 치료법으로는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해결할 수 있다는 거예요. 그는 “제 발명품을 조금만 발전시키면 정밀한 측정이
가능
한 일반 청소년 교육용 망원경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제 발명품을 수도꼭지에 달면 하루 물 사용량을 집에서도 알 수 있어요!- 한서진 경산과학고 2학년 - 한서진 경산과학고등학교 2학년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이것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알아내 병을 일찍 진단하고 예방하는 게
가능
해졌습니다. 인간 유전체 연구는 사회도 변화시킬 겁니다. 집단이 어떤 정체성을 띠는지, 개인의 특성이 얼마나 일반적인지 유전체로 가늠하는 사회가 올지도 모릅니다. 그땐 MBTI를 묻듯이 서로 유전체를 묻게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