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가능
의 문제죠. 그런데 수학은 영원히 불
가능
한 ‘부존재’와 특정 조건 하에서 언제나
가능
한 ‘유일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학문입니다.” 뫼비우스 띠를 비율이 1: 루트3 보다더 작은 직사각형으로 만들 수 있느냐 없느냐는 부존재를 탐구하는 수학자들에겐 매우 흥미로운 문제라는 겁니다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28이 가속기 안에서 만들어져 존재했을 시간은 10-21초로, 실험으로 직접 관측하는 건 불
가능
한 찰나입니다. 이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 데이터 분석을 담당한 도쿄공대 연구팀은 산소-28이 붕괴한 뒤 남은 산소-24와 중성자 4개로 산소-28가 생성되긴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산소-28은 10-2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
할까?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성장하는 데 필요한 호르몬이나 대사 작용 등을 모두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불
가능
에 가깝다고 본다”고 했습니다.그럼에도 인공 자궁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9월 1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는 미국 필라델피아 아동병원(CHOP) 연구원들이 22~28주에 너무 이르게 태어난 ... ...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중 노출을 통해 약독화된 백신의 효과가 다소 불분명하고 압도적인 결과를 보이지 못할
가능
성을 걱정했다. 극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자신의 방법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만든 백신을 쓰면서까지 실험을 성공시키려 한 것이다.탄저균 백신의 성공은 파스퇴르와 동료들이 불러 모은 기자들 덕택에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시제품에서 전극의 흡착 반응에 더해 전해질의 화학 반응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의
가능
성을 확인했습니다. 이 새로운 슈퍼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는 기존 슈퍼커패시터의 5배에 달합니다.마지막으로 오늘날 슈퍼커패시터 소재는 대부분 수입하고 있습니다. 전극 물질 중 핵심 소재인 활성화 ... ...
킬 스위치로 박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1호
불임 유전자로 바꿉니다. 다음 세대의 모기도 불임 유전자를 물려받아 번식이 불
가능
해지지요. 유전자 드라이브 기술이 적용된 모기는 아직 야생에 풀리지 않았어요. 연구진은 “유전자 드라이브가 제대로 작동한다면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모기를 없애 지구상에서 말라리아라는 질병을 아예 없앨 ... ...
[메타버스 여행법] 템플릿으로 손쉽게 나만의 아이템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1호
Picsart) 앱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요. 사진 이미지를 가공할 수 있는 앱이라면 무엇이든
가능
하답니다. 3. ‘캐릭터 미리보기’로 아이템 입혀 보기 아이템을 디자인해 본 다음에는 이것을 착용했을 때 캐릭터가 어떤 모습일지 확인해 보는 과정이 필요해요. 제작한 템플릿 파일을 제페토 앱에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23년 11호
수학적 대상이 확장됐어요. 예를 들어 고대에는 여러 사건 중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
성을 가늠하는 일에 큰 관심이 없었어요. 중세와 초기 근대 유럽에서 불확실한 상황을 다루기 시작하면서 확률을 계산할 수 있는 사건도 수학적 대상으로 자리매김했어요. 비슷한 맥락에서 기하학 연구도 ... ...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수상했다. 순간 포착은 아토초(100경분의1초)단위로 빛의 파동을 발생시킴으로
가능
했다. 2023년 노벨상 수상자들이 수십년 전 연구의 첫 발을 떼고 인류에 공헌하기까지, 그 위대한 여정을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살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양자점의 응용법을 1998년 보고했다. 양자점이란 새로운 발광체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가능
성을 연 것이다. 한국의 과학자들도 양자점 연구에 많은 공헌을 했다. 대표적인 연구로 현택환 교수가 2004년 발표한 양자점 대량생산법 개발과 삼성 종합기술원 장은주 박사가 2019년 발표한 양자점 기반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