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것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알아내 병을 일찍 진단하고 예방하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인간 유전체 연구는 사회도 변화시킬 겁니다. 집단이 어떤 정체성을 띠는지, 개인의 특성이 얼마나 일반적인지 유전체로 가늠하는 사회가 올지도 모릅니다. 그땐 MBTI를 묻듯이 서로 유전체를 묻게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넘어 생물학 현장 구석구석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적은 양의 시료로,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물, 흙, 대기 중 먼지에 섞여있는 DNA를 검사해 생물을 찾아내는 환경 DNA(eDNA), 이미 멸종한 생물의 유전체를 재구성하는 고DNA(aDNA) 연구가 한 예다. 조그만 어금니 화석에서 멸종된 고인류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물종목록에서 곤충 카탈로그를 확인했다. 이곳에 해당 종이 없으면 신종이나 미기록종일 가능성이 커진다. 이를 통해 점등에모기속이라는 사실까지 알아낸 뒤에는 전 세계에 있는 점등에모기속의 형태 정보를 수집했다. 이때 확인하는 것은 ‘검색표’다. 검색표란 두 개의 대응하는 형질을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구한 우주 팽창률도 드디어 우주배경복사로 구한 것과 같은 67 정도가 나온다는 결말이 가능했을테니 말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제 더 난감한 두 축 사이에서 고민해야한다. 허블뿐만 아니라 제임스 웹도 똑같은 한계가 존재하고, 둘 모두의 관측에 오류가 있는지, 아니면 정말 우주론 모델 자체에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학적 성능 검증이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이번 연구는 분산형 관제라는 새 패러다임의 가능성을 분명히 시사합니다. 어쩌면 미래의 하늘길은 항공기들이 서로 적당히 눈치를 보며 요리조리 나는 모습이 될 수도 있습니다. 마치 사람들이 복작거리는 길거리를 능숙하게 걷듯이 말이죠 ... ...
- [기획] 생명체 찾아 목성의 달로! 탐사선 주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기획] 생명체 찾아 목성의 달로! 탐사선 주스Part1. 주스, 정체를 밝혀라!Part2.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Part3. 주스, 목성까지 가는데 8년이 걸린다? 용어 설명*위성: 행성 주위를 도는 천체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원소를 제공할 암석 비율도 높고, 방사선을 막아줄 만큼 얼음층이 두터워 생명체 거주 가능성을 지녔다”고 덧붙였습니다. “우리는 우주에서 혼자가 아닐 거예요!” Q. 외행성계의 생명체는 지구 생명체와 많이 다를까요? 위성의 얼음층 아래에 살 수 있는 해양 생명체도 지구의 생명체와 ... ...
- 정부 발표부터 9월 모의평가 결과 분석까지, 킬러문항 논란 일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의대 모집 정원이 3000명 가까이 되기 때문에 (만점자) 2500명 정도 수준으로 충분히 변별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올해 수능은 9월 모평과 유사한 문제 유형과 난도로 출제될 거란 분석이 유력해요. 킬러문항 사라질 수 없다! 취재 과정에서 킬러문항이 언제 처음 등장했냐고 물어보니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단위로 연산을 수행한다. 큐비트는 0과 1이 동시에 존재하는 ‘양자중첩 상태’가 가능한 비트이다. 기존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연산 과정과 달리 양자컴퓨터는 이러한 양자중첩 상태와 큐비트 간의 정보가 연결되어 있는 ‘양자얽힘’을 함께 사용한다. 따라서 양자컴퓨터에 적합한 연산과정을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들어가야 하는 DNA 백신과 달리 세포막만 투과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mRNA 전달이 가능해진 건 지질나노입자(LNP・Lipid Nanoparticle)와 같은 지질 방울 개발이 결정적이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든 mRNA 백신은 LNP로 mRNA를 감싸도록 제조하며, 만들어진 mRNA-LNP 조합을 인체의 근육이나 혈관에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