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A)가 만나도록 몸의 각도와 타구의 크기를 결정하면 된다. 물론 선수의 기량에 따라
조금
씩 다르지만, 정육면체는 타구의 기준이 된다.셋 공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간다!탁구공은 탁구라켓과 만나는 점과, 탁구대와 만나 는 점을 기준으로 위로 볼록한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간다. 그렇기 때문에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않는다.1950년대부터 연구를 시작한 인공지능을 기호적 인공지능이라고 한다. 방식을
조금
깊게 알아보자. 먼저 개념과 개념 사이의 관계를 기호로 표현한다. 이어서 마치 수학 문제를 풀 듯이 규칙에 따라 기호를 조작해서 새로운 정보를 찾아낸다. 예를 들어 체스를 배우기 위해 체스의 규칙과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미토콘드리아나 Y염색체가 한쪽 성으로만 그대로 이어진다고 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
씩 돌연변이가 생긴다.과학자들은 이렇게 쌓인 돌연변이를 이용해 계보를 역추적한다. 그런데 Y염색체는 염기쌍이 6000만 개 정도로 1만 6000개에 불과한 미토콘드리아보다 훨씬 많다.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큰 먼지는 잘 빨아들이지만 미세먼지는 잘 걸러내지 못하거든.공기청정기는
조금
다를 거라고? 공기청정기를 보면 ‘집진성능99.97%’라는 문구를 볼 수 있어. 이건 10g의 먼지에서 1만분의 3인 3㎍을 빼고 다 거른다는 얘기야. 뛰어난 성능 같지만 주의해야해. 3㎍에 0.01㎍ 먼지가 300개라면 정작 몸에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1페타바이트는 1000조바이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결국 뇌과학자와 뇌공학자들은
조금
더 효율적인 방법을 고안했다. 신경세포 사이의 연결성 지도를 만드는 일과 뇌 영역들 사이의 연결성 지도를 만드는 일을 나눠서 함께 진행하는 전략을 택한 것이다. 둘 사이의 연결 고리를 만드는 임무는 ... ...
6기 명예기자 발대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공기 흐름에 따라 미끄러져 날아가는 특수한 형태의 비행기에요. 간편하게 만들 수 있고,
조금
만 연습하면 멋있게 날릴 수 있어 명예기자 친구들에게 인기 폭발이었지요. 모스글라이더를 누가 더 훨훨 멀리 날게 할 수 있는 지 시합도 했답니다. 6기 명예기자들의 씩씩한 모습을 보니 2012년 ... ...
[시사] 눈덩이처럼 이자가 불어난다? 복리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5000원의 이자를 받아 10만 5000원이 된다. 이 때까지는 단리와 차이가 없다.2년 뒤부터
조금
씩 달라진다. 10만 5000원에 대한 이자인 5250원을 더해 11만 250원(10만 5000원 +5250원)을 받는다. 세 번째 해에는 이자가 더 커진다. 11만 250원에 대한 5%의 이자(5512.5원)를 받기 때문에 총 금액이 11만 5 ...
[정보] 부등식, 방향을 정하면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친구들일수록 활용문제에서 약점이 드러나죠. 이런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생각을
조금
다르게 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앞으로 활용문제를 풀 때는 탐정의 마음으로 문제를 바라보세요. 부등식은 각 문제에서 ‘진실을 밝히는 도구’로 쓰이는 경우가 많거든요. 문제를 푼다는 생각보다는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섭동(양자역학적인 이탈)’이 있다면, 중력에 의한 쏠림 현상이 가속될 것이다. 질량이
조금
이라도 큰 곳으로 물질이 모이다 보면 끌어당기는 힘은 더욱 커진다. 이 중에서 물질이 팽창하는 힘보다 응집력이 더 큰 곳에서 드디어 은하가 생긴다. 이 우주의 진화 방정식을 디지털 공간에 대입하고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감싸면 아무리 많은 열을 받아도 온도가 그 이상 올라가지 않는다. 대신 감싼 물질이
조금
씩 녹아 사라지는데, 짧은 시간 동안 탄두를 보호하기에 충분하다. 뾰족한 패스트포인트 방식에 많이 쓰인다.최근에는 마찰열을 극대화시켜 오히려 무기로 이용하려는 연구도 있다. 이 기술을 응용하면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