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진행하고 있다.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한다는 핵심은 같지만 쓰이는 재료나 기술 등이
조금
씩 차이가 난다. 그러다 보니 연구실 회의를 하면 각 분야의 다양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을 준다. 성 교수는 연구실의 연구 분야를 설명하던 중 문제 해결에 관한 에피소드를 ... ...
날카로운 자아발견의 시기, 사춘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중에서 어떤 과목에 재능이 있는지를 아는 것이 좋다. 네 과목 모두 각각 공부를
조금
씩 하면서 관련 분야 책을 읽어야 한다. 그렇게 자연스럽게 선행학습을 하는 것이 부담도 덜하고 효과도 좋다. “살수 있는 날이 하루 밖에 없다면 뭘 하고 싶어?” “별로 생각한 게 없어요.” “한번 생각해보렴 ... ...
[5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기사(記事)란 무엇일까.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이 기사다.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서 어떠한 사실을 알리는 글’이라는 의미도 ... 인터넷에 있는 정보나 자료를 그냥 쓰지는 말자. 참고해서 독자의 시각을 끌 수 있는 주제나 메시지를
조금
만 더 끌어내 보자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비파괴 검사를 통해 지질도가 완성되면 다음 단계는 직접 땅 속을 파보는 것이다.
조금
씩 파면서 지질을 확인한다. 특히 수심이 깊어질수록 비파괴 검사에 사용하는 초음파의 정확도가 떨어져 아직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김동규 연구위원은 “수심이 깊을수록 해저 지반 탐사나 조사가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증기가 응결하듯 물질(입자)이 생기고, 물질이 양자역학적인 요동 때문에 지역적으로
조금
씩 밀도를 달리하면 별과 은하가 생긴다.인플레이션 우주론에서는 우리 우주가 탄생 뒤 10-30초만에 인플라톤이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뚝 떨어졌다고 본다. 하지만 그 짧은 사이에 인플라톤의 ... ...
길을 잃었을 땐 ‘똥춤’ 춰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교수가 ‘춤을 춘다’라고 말하더군요. 제 춤을 보고 싶으면 제가 소똥을 굴리고 가는 걸
조금
만 관심 있게 보시면 돼요.거꾸로도 일정한 방향으로 간다고?바이어드 교수도 제가 머리를 땅으로 하고, 뒷다리로 공을 굴리면서 거꾸로 가는데도 어떻게 일정하게 방향을 유지하며 가는지 궁금해 했어요.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벗어날 수 있다니 정말 다행이야. 하지만 햇빛만 가지고 에너지를 만드는 건 뭔가
조금
아쉬운 느낌이 들어. 듣기로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해 온수를 만들거나 난방을 쉽게 한다는데, 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는 없을까?"에너지를 이용할 때는 손실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해요. 태양열 에너지로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눈앞에 펼쳐졌다.“과학 연구에서 정확한 값을 계산하는 일은 무척 중요합니다.
조금
의 오차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원주율 π값을 정확하게 구하려는 이유도 같아요. 일반컴퓨터로 할 수 없는 복잡한 계산은 여기 있는 수백 대의 컴퓨터가 대신합니다.”교수님은 몇 가지 사례를 들어 ... ...
버릴 게 하나 없는 음식 찌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닦거나 방바닥을 닦을 때도 좋아. 바닥이나 유리에 묻은 때는 대부분 기름 성분이
조금
은 섞여 있거든. 세수하거나 손을 씻을 때 비누를 쓰면 잘 씻기는 것처럼 차 찌꺼기가 바닥이나 유리를 닦을 때 비누 역할을 한단다.최근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부패시켜 이때 발생하는 메탄가스로 에너지를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이해할 수 있는 ‘0, 1’로 이뤄진 기계어에 가깝다. 0과 1로 이뤄진 명령어를 사람이
조금
알아보기 쉬운 기호로 정해 컴퓨터의 행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1960년대에 수학자인 한스 프로이덴탈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교수는 인류과 공통점이 전혀 없는 지적 외계인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