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고래들은 다 돌고래처럼 고주파를 이용해 소통한다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있어. 하지만 모두가 그런 건 아냐. 우리는 저주파를 이용해 매우 먼 거리에 있는 다른 혹등고래와도 소통할 수 있어. 저주파는 수천 km 떨어진 곳까지 전달되거든. 우리는 저주파를 이용해 함께 이동하고 먹을거리도 찾고 ...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수목원에 식물 탐정이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만들지 열띤 토론을 펼쳤어요. 1조는 나무나 식물이 땅에서 자라나는 것처럼 사계절이 모두 담긴 정원을 입체적으로 꾸몄어요. 2조는 열매로 만든 아르마딜로와 다양한 식물이 같이 어울려 사는 정원을 만들었지요. 그밖에도 대원들의 손끝에서 고양이가 꽃 사이를 뛰어노는 화묘원, 나비와 벌이 ... ...
- [지구사랑탐사대] 과학자가 되는 방법 大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연구노트에는 과학자의 모든 연구과정이 자세히 적혀 있답니다. 위대한 과학 이론들은 모두 연구노트에서 태어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연구노트는 증거자료가 되기도 해요. 연구 도중 다른 사람이 아이디어를 훔쳐가거나 실험 결과를 조작하는 등의 나쁜 행동을 했을 때, 과학자의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촉촉 립밤으로 가을철 입술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립밤이 부러질 수 있거든거든요. 이번 메이커 스쿨에 참가한 여섯 명의 기자단 친구들은 모두 용액이 완전히 굳을 때까지 기다린 덕분에 다행히 온전한 립밤을 얻을 수 있었지요. 그뒤 스티커 종이 위에 자신의 이름을 쓰거나, 캐릭터를 그려 나만의 립밤을 완성했답니다. 이번 메이커 스쿨에 ... ...
- [이 얼굴을 지켜주세요] 혓바닥이 삐죽삐죽 ,기수갈고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하천을 흐르는 민물은 모두 바다를 향해 가요. 이런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강의 끝부분을 ‘기수’ 지역이라고 하지요. 이번에 소개할 연체동물 ‘기수갈고둥’은 기수 지역에 살아서 이런 이름이 붙었답니다.기수갈고둥은 다슬기처럼 물속의 돌에 붙어 살아요. 배가 고플 땐 ‘치설’이라는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의 퀴즈 : 어떤 사진이 진짜 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사진은 모두 가짜 사진이에요.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연구팀이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기술을 통해 만든 거지요. GAN은 두 인공지능이 대결을 하듯 하나는 끊임없이 가짜 사진을 만들고 다른 하나는 이것이 진짜인지 가려요. 이 둘은 경쟁을 통해 배우고 발전해 결국 진짜 같은 가짜 사진을 ... ...
- [현장취재]모였다! 어과동 만.찢.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야구왕 허슬기’의 김문식 작가님, ‘인공지능 로봇 마이보’의 홍승우 작가님이 모두 자리에 앉자 사회를 맡은 이창욱 기자가 큰 목소리로 파티의 시작을 알렸지요.“그럼 지금부터 어과동 팬파티를 시작합니다!” 만화 작가님과 만화로 놀자!첫 번째 시간은 ‘릴레이툰’! 만화 작가님과 ... ...
- [시사과학 뉴스] 동물원 퓨마 호롱이는 왜 죽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뒤 사살되는 사건이 일어났어요. 당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인기 검색어 1~3위를 모두 ‘퓨마’가 차지하는가 하면, 호롱이와 관련된 청와대 국민 청원이 수십 건 올라오는 등 호롱이는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답니다. 대체 호롱이에게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요? 호롱이 사건 일지 지난 9월 1 ... ...
- [출동! 기자단] 카이스트 인터랙티브 미디어 랩 게임을 하면서 연구도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게이머와 일반인으로 마우스 조작 능력을 비교하는 실험을 했어요. 그랬더니 두 그룹 모두 파란색 공을 클릭한 횟수는 비슷했지만, 일반인의 경우 게이머보다 클릭 위치가 훨씬 넓게 퍼져 있었어요. 정밀도가 떨어진 거죠. 이런 데이터를 모아 마우스 실수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면 마우스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가임 교수는 2010년 그래핀 연구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해 최초로 이그노벨상과 노벨상 모두를 수상한 과학자가 되었지요. 올해의 괴짜 연구들을 소개합니다!이그노벨상의 수상 분야는 해마다 조금씩 바뀌어요. 올해는 의학상, 인류학상, 화학상, 경제학상, 의학교육상 등 10개 분야에서 시상이 ... ...
이전2612622632642652662672682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