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 선수는 어떻게 골을 넣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사회자 질문에 경기를 앞둔 AFC-위슬(WISRL) 팀 AiRobots-NCKU 팀 모두 이같이 답했어요. 이어 각 팀의 전략을 묻자 NCKU 팀은 ‘규칙 기반 기술’을, AFC-위슬 팀은 ‘강화학습 기술’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코딩했다고 설명했지요. 규칙 기반 기술과 강화학습 기술은 과연 ... ...
- [통합과학 교과서] 두 번째 아이템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생각에 마음이 조급해졌어요.“얼른 뛰어서 원반을 잡아야 해!”둘은 남은 체력을 모두 짜내 원반이 놓인 곳으로 전력 질주했어요. 마침내 수호가 손을 뻗어 원반을 잡으려는 순간, 원반은 감쪽같이 사라져 버렸어요.“하…. 두 번째 아이템을 놓쳐버렸어…. 어떻게 얻은 기회인데….”풀이 잔뜩 ... ...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잡기 힘든 종은 스노쿨링이나 다이빙을 해서 직접 채집한답니다.심해 물고기의 유전자는 모두 비슷하다?! - 김경무저는 동해 깊은 곳에 사는 어류의 유전자를 연구해요. 빙하기 이전부터 살던 종이 빙하기를 겪으며 일부만 심해에 살아남아 유전자의 다양성이 낮은 편이랍니다. 또 연구실에서는 ... ...
- 배설물에서 DNA를 찾아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종복원기술원 복원기술부 한상현 책임연구원은 “배설물 속 DNA에 X염색체와 Y염색체가 모두 있으면서 수컷을 결정하는 유전자(SRY)가 있으면 수컷, X염색체만 있고 SRY유전자가 없으면 암컷으로 판별할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 인터뷰 : 신선한 똥과 오줌은 동물을 연구하는 데 유용해요! ... ...
- 노후시설물, 와르르 무너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3일, 서울 용산구에서 4층짜리 상가 건물이 붕괴됐어요. 벽돌과 시멘트로 이뤄진 건물이 모두 무너지는데 채 2초도 걸리지 않았지요. 1~2층이 식당이라 평일이라면 100명이 넘게 드나들었지만, 사고는 다행히 일요일에 발생해 한 명이 부상을 입는 데 그쳤어요.이 건물은 지어진 지 50년이 넘은 노후 ... ...
- [출동! 기자단]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사람들은 이 전설을 듣고 황금 유물을 갖기 위해 산을 깎아서 과타비타 호수의 물을 모두 빼냈어요. 그 결과 총 10여 t의 황금유물을 발견했지요. 이는 당시 스페인에서 화폐로 사용하던 금보다도 훨씬 많은 양이었답니다.”전시장 안쪽에서 그 유물들을 볼 수 있었어요.어두운 전시장 안에서 화려한 ...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생각하시나요?“하늘에 별이 천년에 한 번 나타났다면, 세상 사람들은 별이 나타나는 날 모두 모여 하늘을 바라보며 황홀경에 빠졌을 것이다. 하지만 별은 매일 밤 하늘에 떠 있고, 사람들은 TV를 본다.” 미국의 작가 폴 호켄이 한 말이에요. 아무리 신비롭고 중요한 것이라도, 그것이 너무 흔하면 그 ... ...
- [화보]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의 하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놀이를 할 때는 어떤 일이 일어나도 괜찮아요. 실수할까 봐 걱정할 일이 전혀 없죠. 우리 모두 이 과정을 겪으며 중요한 것들을 배워 왔어요. 하지만 어른이 되면서 놀이를 시시하게 여겨요. 그러면서 아이들처럼 놀면서 배우지 않고 어렵게 배우려고만 하죠. 어른들도 스포츠를 즐기거나 춤을 추는 ... ...
- 게임으로 충격을 치료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있어요. 만약 난민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공포스러운 기억을 떠올리면 작업기억은 모두 기억을 다시 단단히 저장하는 데만 사용돼요. 반면 공포스러운 기억을 떠올림과 동시에 테트리스를 하면 작업기억 중 일부가 테트리스에 사용되지요. 즉, 테트리스를 하면 원래처럼 기억이 뇌에 생생하게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폴짝거렸고, 올챙이들이 꿈틀거렸지요. “자! 지금부터 5분 간 개울에 사는 양서류를 모두 찾아보세요!”장이권 교수님의 말에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순식간에 많은 종의 양서류들을 찾았어요. “어린 도롱뇽이 있어요! 진짜 작아요!”“옴개구리랑 무당개구리도 잡았어요!”새끼 손톱만한 ... ...
이전2632642652662672682692702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