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1억 2500만 년 전 비듬의 주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네 종류의 공룡과 원시 새 화석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네 종류의 화석 모두에서 비듬이 발견되었어요. 가장 오래된 비듬은 미크로랍토르의 화석에서 나왔지요. 연구진은 이 비듬을 통해 공룡이 현재의 파충류처럼 피부를 한꺼번에 벗는 탈피를 하는 대신 깃털 사이로 피부 조각을 ... ...
- [현장취재 1] 2018 첫 특별탐사,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거예요. 하지만 사실 손가락 한 마디 크기를 넘는 하늘소는 10종이 안 돼요. 그 밖엔 모두 이 하늘소처럼 자그마하답니다.”하늘소는 ‘딱정벌레목 하늘소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전세계에 약 2만 5000종이 살고 있어요. 이중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하늘소만 해도 350종이나 되지요.이승현 연구원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걸 발견했어요. 도마뱀 7종은 출발점과 진화 과정이 모두 달랐지만, 환경에 적응한 결과 모두 녹색 피를 갖게 된 거지요. 이는 녹색 피가 도마뱀의 생존에 도움이 된다는 걸 의미해요. 연구팀은 담록소의 독성이 말라리아와 같은 혈액 기생충에 감염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아닌지 추정한답니다. ... ...
- Part 1. 한반도, 정말 아열대가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한반도의 60% 이상이 아열대 기후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지요. 그런데 예측대로 전국이 모두 아열대 기후로 변하면 어떻게 될까요? 가장 큰 변화는 한반도와 그 주변 바다에 사는 생물들에게서 나타날 거예요. 이런 징후는 벌써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지요. 아열대 지역에서만 살던 바다 생물들이 ... ...
- Part 4. 한반도 산은 지금 탈모 진행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않는 ‘소나무재선충’이라는 작은 벌레랍니다. 나무 안에서 빠르게 증식해서 수관을 모두 막아 말라 죽이지요. 우리나라에서만 벌써 수백만 그루의 소나무가 소나무재선충병에 걸려 죽었답니다. 소나무재선충은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고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를 타고 옮겨 ... ...
-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반트’로 탈바꿈했어요. 동독과 서독을 막고 있던 장벽을 없애고, 근처의 지뢰를 모두 제거했지요. 또 주변에 있던 감시타워와 군인들의 초소는 유지해 분단의 역사를 기억하는 장소로 만들었답니다. [인터뷰] “DMZ 생태공원을 만드는 건 젊은 세대에게 더 중요해요!” Q. 자기소개를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있는 가시채널이 한 개라 흑백으로 촬영했지만, 2A호는 ‘RGB(적, 녹, 청)’ 가시채널을 모두 갖고 있어 컬러로 촬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컬러 영상은 흑백 영상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가령 구름과 화재 연기, 황사, 화산재 등을 색으로 구분할 수 있고, 지표상의 식생 정보를 더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3월 중국 기업 잉지 홀딩스도 광둥성에 있는 1692개 농장에서 돼지 16만8821마리의 얼굴을 모두 스캔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98%의 정확도로 돼지 얼굴을 식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맞춤형 사육이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는 얼굴 인식 기술로 동물이 느끼는 통증을 확인할 ... ...
- ‘아베노믹스’가 한국에 주는 교훈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가격이 상승하고 있지만, 20년 넘게 고정된 가격표를 보던 습관을 공급자나 소비자 모두 바꿀 용기가 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용기 부족’ 현상은 일본의 국가 경쟁력이 약화돼온 추세와도 관련이 깊다. 미국의 정보통신(IT) 기업 아마존이나 월마트 같은 유통 기업들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물리학 등 3개 과목을 필수로 수강해야 한다. 김 학부장은 “고등학교에서 과학 Ⅰ, Ⅱ를 모두 배우고 오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1학년 교과과정에서 다시 가르친다”며 “물론 여기서 수학은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1학년 때 기초 과학 과목을 수강하고 나면, 유기화학, 물리화학, 공학생물,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