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람이 직접 정답이 적힌 꼬리표를 달아줘야 한다. 컴퓨터가 학습하기 전에 이미지를 보고 ‘하품하는 고양이’, ‘뒤뚱거리는 펭귄’ 등 미리 정답을 입력해둬야, 인공지능이 스스로 생각한 결과와 비교를 해 심층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각 데이터의 정답을 일일이 부여하는 것은 매우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영향을 받아 휘어져 날아온다. 지구에 있는 우리는 이런 휘어진 빛들의 누적된 결과만 보고 원래 은하의 위치를 알아내야 한다. 또 역산해서 지구와 은하들 사이의 공간에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이 어떻게 분포하고 있었는지, 시간에 따라 그 분포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계산해내야 한다.중력렌즈 ...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말이다. 박진영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며 ‘청년의사신문’에 심리학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한 주를 건강하게 보내는 심리학을 다룬 ‘심리학 일주일’을 썼다. imaum0217@naver ... ...
- [특별 인터뷰] 부지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부분이 많아졌지요.원래는 그냥 지나치던 것들이었는데, 요즘엔 귀화식물인지 찾아도 보고 울음소리로 매미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되었어요. 지구사랑탐사대를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환경에 대해 관심이 생겼어요.곤충들을 덜 무서워하게 되었습니다. 아직도 잘 만지지는 못하지만 다가가서 ... ...
- [퍼즐탐정 셜록홈즈] ‘소느로 파머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지금 낙하산을 메고 뛰어내리셔야 합니다. 단, 낙하산이 펴지게 하려면 버튼을 잘 보고 누르셔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MISSION 2. 수상한 원주민이 낸 문제를 풀어라!간신히 낙하산을 펴고 섬에 도착한 썰렁홈즈.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소느로 파머거를 찾아다니던 그때! 갑자기 썰렁홈즈 앞에 웬 ... ...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하므로 광케이블을 놓는 방법이 최대 228개나 됩니다. 이렇게 많으면 모든 경우를 다 따져보고 최적의 연결을 찾는 것은 무리입니다.문제 바꿔 쉽게 풀고 원래 답도 구한다수학자들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선형계획법’을 떠올렸습니다. 여기에 적용하기 위해 문제를 조금 수정했습니다. 두 도시를 ... ...
- [지식] 선거 개표의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역전당했습니다.4시까지 개표방송을 보다 잠든 시민들은 아침에 일어나 뒤바뀐 결과를 보고 많이 당황스러워했지요. 방송사에서는 한명숙 후보가 당선될 것으로 확신하고 앞다퉈 당선 축하 인터뷰를 내보내기도 했거든요. 2002년 대통령 선거 때도 이회창 후보가 중반까지 10만 표 이상 앞서갔지만, ... ...
- [지식] 배구, 스마트하게 변신하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기존에는 전략분석원 한 명이 경기를 분석해 자료를 감독에게 전달하면, 그 자료를 보고 감독이 선수를 지도하는 방식이었다. 감독에게 자료가 오기까지 보통 3일이 걸렸다. 평균 한 주에 두 번 경기를 치르는 선수들이 시즌 중에 새로 업데이트되는 자료를 받아 연습하기에는 시간이 턱없이 ...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소리만 듣고도 원샷 원킬!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사인 곡선을 여러 개 합쳐놓은 모양이랍니다.게임 사운드를 만들 때는 소리의 파형을 보고 쓸데없는 것은 지우고, 필요한 소리를 덧붙여요. 그러면 게임 속 상황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어서 훨씬 실감난답니다.미래의 게임 음악은 인공지능이!게임 속 배경음악은 멜로디나 리듬보다는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거리를 재는 방법을 ‘보측’이라고 합니다. 거리를 알고 싶은 두 지점 사이를 걸어 보고, 걸음 수에 자신의 평균 보폭을 곱하면 됩니다.평균 보폭을 곱하는 이유는 우리가 항상 똑같은 보폭으로 걷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정한 거리를 몇 번씩 걸어본 다음 평균을 구하는 방법을 씁니다. 예를 ... ...
이전2632642652662672682692702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