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구글이 밝힌 무인자동차의 첫 실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구글이 3월 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자동차관리국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2월 14일 구글 본사 인근에서 SUV를 개조한 구글의 무인차와 버스가 충돌했다. 무인차가 도로에 떨어져 있는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방향을 틀었다가 차선으로 재진입하는 과정에서 뒤따르던 버스와 ... ...
- [과학뉴스] 국내 첫 ‘오랑우탄 거울실험’, 다큐로 나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보인다. 비닐더미와 같은 물체로 몸을 가꾸는 모습도 관찰됐다. 남 기자는 “실험결과를 보고 오랑우탄이 자의식을 가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면서 “동물이 단순한 자극반응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풍부한 감정과 생각이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고 말했다.대형유인원, 코끼리, 돌고래 등으로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선생님께 크게 혼났을 수”라고 평했다. 알파고는 이어진 왼쪽 아래 전투에서 손해를 보고 도망치는 와중에도 중앙을 향해 나갔다. 특히 흑73은 왼쪽 아래의 백에 거의 포로로 잡혔던 돌들이 순간 중앙으로 진출할 수 있는 두터운 수가 됐다. 2국은 결국 중앙에서 알파고가 큰 이득을 취하며 승리했다 ... ...
- Intro. 플라스마 엔지니어링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지만 우리에겐 낯선 것. 때론 액체질소보다 차갑고, 때론 태양보다 뜨거운 그것을 보고 싶다면 지금 당장 형광등을 켜라. ‘반짝’ 그 존재를 드러낼 것이다. 플라스마는 태양계 밖 먼 우주에 있는 동시에 내 방과 내 작은 스마트폰 안에도 있다. 우주의 신비를 손 안에 쥐게 해준 플라스마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것이 초고온 플라스마의 난류가 에너지를 비정상적으로 수송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좁은 공간에 갇힌 초고온 플라스마는 열역학적으로 표현하자면 엔트로피가 매우 낮은 상태다. 자연은 다양한 수단을 동원해 이것의 엔트로피를 높여가는데 이때 동원되는 수단은 난류다. 감금시간을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는 캄보디아 조교님이 오셔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답니다.한국은 언젠가 한 번은 꼭 가보고 싶은 나라랍니다. 한국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를 재밌게 봤거든요. 기자님이 저희 사진이 실린 잡지를 보내주겠다고 약속했는데, 어떻게 나올지 걱정입니다. 사진을 찍는 게 아직 익숙지 않거든요.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를 1400~1600년대 시작된 동식물의 대이동을 대표할만한 기록(표준층서구역)으로 보고 1610년을 인류세의 시작이라 주장했다.최근엔 또 다른 후보가 등장했다. 1945년이다. 이 때 일어난 생물학적 변화는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다. 국제층서위원회는 ‘인류세 소위원회’를 따로 운영하고 있는데, 이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는 모든 어른들과 마찬가지로, 소금보다 먼저 태어났다. 학교는 주거구역 한가운데에 있었다. 야트막한 언덕 위, 집들이 내려다 보이는 곳. 광산이 보이지는 않지만 ... “네, 괜찮았어요. 저는.”그리고 늙은 스승의, 단 한 순간 우주비행사였던 남자의 눈을 보고 말했다.“좋아했고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쓰고 있어요. 화씨는 미국을 비롯한 극소수의 국가에서만 사용하고 있지요. 화씨온도를 보고 몇 ℃인지 혼란스럽더라도 걱정하지 마세요. 섭씨온도와 화씨온도(℉)는 서로 바꾸어 계산할 수 있답니다.섭씨온도(℃) = (화씨온도(℉) - 32) ÷ 1.8절대온도라는 것도 있어요. 절대온도는 영국의 과학자인 ... ...
- [Editor’s note] 인공지능 수학자는 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어떨까요? 인공지능도 문제를 스스로 찾아내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아름다운 꽃을 보고 꽃이 피는 과정을 연구해 보려고 할까요? 관측한 중력파를 가지고 우주의 비밀을 파헤쳐보려고 할까요? 혹은 난제에 도전해서 성공할 수 있을까요? 리만 가설을 증명할 수 있을까요?온통 물음표투성이입니다.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