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예측했을 뿐입니다. 그것도 해왕성이나 명왕성보다 몇 배나 큰 궤도를요. 망원경으로 보고 일일이 찾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브라운 교수는 1월 20일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아홉 번째 행성을 찾는 일에 착수했다”면서 “늦어도 5년 안에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존과 ... ...
- [Knowledge]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151구의 유해가 가족 품을 찾았다.“모든 가능성을 검토해 최종 결과가 나오면 상사에게 보고하고 유족에게 돌려드려요. 그러면 유족 분들이 이런 날이 올 줄 몰랐다며 손을 잡고 고마워 하세요. 인수한 유해는 부모님 곁에 고이 묻습니다.”진 박사를 만났을 때는 마침 저서 ‘뼈가 들려준 ... ...
- [Tech & Fun] 좀비 아이들도 채소가 맛있대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에베르 씨는 “좋은 음식을 골고루 먹게 하는 데 미각교육이 효과가 좋은 것을 보고 시작하게 됐다”면서 “우리 마을에서 매년 250명의 어린이들이 미각교육을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좋은 요리는 사랑이다 미각교육은 식습관만 바로잡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혀로 음식의 맛을 제대로 느끼는 ...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부정적인 면만 보고 판단하지 않는 것이 좋다. 나쁜 점 말고 좋은 점들도 상기해보고, 나또한 상대에게 부족함이 많은 상대일 수 있다고 생각해보자.한 가지 덧붙이자면, 인간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모든 사람이 그러는 건 아니다. 개인차가 존재한다. 일례로 불확실성을 잘 견디지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차례로 멸종했을 거예요. 학자들은 이 과정에 약 1만 년 정도의 시간이 걸렸으리라 보고 있답니다. ↑‘굿 다이노’의 악역 ‘버바’는 깃털이 달린 벨로시랩터 종이다. 깃털이 달려 있으면 추운 기후에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어디서 살까? 포유류나 조류는 살아남아 신생대에 번성했지만,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걸 알게 됐어요. 사람들이 좋아하는 꽃을 꿀벌들은 좋아하지 않았던 거예요.그걸 보고 인간들만 즐거운 환경이 아니라 우리 주변의 작은 생물들까지도 모두 좋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겠단 생각을 하게 됐죠. 그래서 실제로 서울시에 꿀벌들을 위한 정원화를 심어달라고 제안하기도 했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제비 개체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해 보고 싶어요. 시민참여과학은 예전부터 제가 해 보고 싶었던 일이에요. 올해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제비 탐사를 하게 돼 정말 기뻐요.”정다미 소장은 탐사대원들에게 손수 만든 도구를 보여 주며 제비 탐사방법과 주의사항을 설명했어요.“이 도구는 흔히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같은 사람의 얼굴이지만, 바라보는 곳이 조금씩 다르다. 누구의 얼굴일까.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 걸까.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이 관장은 “이처럼 캔버스를 정교하게 채우는 기법을 일반 작가들에게서는 못 봤다”며 “그림을 보면 따라 그릴 수는 있겠지만, 보통 사람은 이런 발상 자체를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분석해 논문을 쏟아내는 곳이기도 하다.김 교수는 스승인 황적준 고려대 교수를 보고 법의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했다. 황 교수는 1987년 서울대 박종철 학생의 고문치사 사건 당시 검시를 맡았던 법의학자로, 정권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박 씨가 고문으로 죽었다는 진실을 밝혔다. 그 모습을 보며,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오늘날의 학처럼 성큼성큼 걸어 다니며 땅 위에서 작은 동물을 찾아 잡아먹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케찰코아틀루스는 날짐승임에도 긴 다리를 가졌는데, 이런 긴 다리는 땅 위를 빠른 속도로 걸어 다니는 데 유용했다. 덩달아 키도 커졌기 때문에, 땅 위를 돌아다니는 먹이를 집어먹기 위해 목이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