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2009년에 조합론 분야의 난제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 같이 해결하자고 제안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이 제안에 테렌스 타오를 포함해서 40명이 넘는 수학자들이 댓글 토론을 벌였습니다. 결국 문제는 해결됐고, ‘D.H.J. Polymath’라는 저자명의 논문으로 출간됐습니다. 연예인 그룹처럼 수학자 그룹명을 ... ...
- [스타쌤의 수학공부꿀팁] 재미와 학습 모두 잡은 수학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많아졌다. 이에 조 교사는 학생들이 재밌게 수학을 배울 수 있는 수학 프로그램을 만들기 시작했다. 학생과 함께하는 수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재 중학교에서는 교과 수업 외에도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시간과 수학동아리에서 수학 공부를 할 수 있다. 교과 수업은 모든 학생이 의무적으로 ... ...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수는 되도록 커야 한다. 따라서 10부터 수가 큰 순서대로 5개의 수를 바깥쪽에 둬야 6으로 시작하는 큰 수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인 1부터 5까지의 수는 노란색 오각형에 배열돼야 한다. 이렇게 손으로 써 가며 답을 찾을 수 있지만, 노란색 오각형에 수를 배치하는 경우의 수를 모두 따지자면 ... ...
- [과학뉴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모유 수유 오래 했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그 결과 이들은 최소 생후 6~9개월까지 모유를 섭취했으며, 이후 일반 음식을 먹기 시작해 생후 12개월부터는 모유 섭취를 완전히 끊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후 3~4년 뒤 영구치가 자랐으며, 음식의 부족으로 6개월마다 주기적으로 식습관의 변화를 겪었다. 이 기간에 이들은 다시 모유 수유로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GM 모기 연구팀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7월 1일 GM 모기를 조금씩 방사하기 시작해 현재 매우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먼저 GM, 즉 유전자 변형의 정의에 대해 과학적으로 정리부터 하자. 현재 생명공학에서 말하는 유전자 변형은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끼워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KSA) 교장이다)이 소신을 갖고 반대하는 사람들을 끝끝내 설득시키지 않았더라면 KSR-Ⅲ를 시작할 수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그는 훗날 나로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KSR-Ⅲ의 핵심 구상은 소형 가압식 액체엔진을 개발하고 그것을 다발로 묶어 아주 큰 추력의 1단을 ... ...
- 포항 지진, 왜 다시 주목받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9km 지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일어났어요. 이는 우리나라 기상청이 지진을 관측하기 시작한 1978년 이래 두 번째로 강한 지진이었지요. 이 지진으로 포항은 물론 서울과 경기도 북쪽에서도 진동을 느꼈다는 신고가 이어졌으며, 실제로 전국 지진 관측계에서 지진파가 감지됐지요. 게다가 불행히도 ...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한 줄기의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잎사귀에서 관찰을 시작하죠. 첫 번째 잎에서 시작해 줄기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올라가 이 잎사귀와 완전히 똑같은 방향에 있는 잎사귀를 찾을 때까지 개수를 세는 겁니다. 그러면 신기하게도 같은 방향에 있는 잎사귀에 도착할 때까지 회전한 횟수가 피보나치 ... ...
- [알고리듬 시그널] 정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해요. 논리력은 물론 이름 짓는 센스까지 남달랐던 것 같네요. 그럼 보글보글 거품 정렬, 시작해볼까요? 참고자료Jwen Astrachan ‘Bubble Sort: An Archaeological Algorithmic Analysis’, 이시다 모리테루, 미야자키 쇼이치 ‘알고리즘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할지 고민이 됩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을 잘 알아봐야 할 텐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사실 이 부분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로봇에게 학습을 시켜줘야 하는데, 로봇에게 학습을 시키기에 필요한 데이터가 너무 부족합니다. 그래서 최근 인공지능 연구는 인공지능에게 필요한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