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심리"(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체험: 현상학적 연구’ 논문에서는 심장이식을 받은 이들이 ‘외모의 심각한 변화로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자신감이 떨어져 전반적인 사회 활동을 위축시키는 원인으로도 작용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면역억제제의 또 다른 부작용은 감정 조절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다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 있는 범용 로봇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집에 혼자있는 아이의 표정을 읽어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로봇이 부모의 냄새를 전달하는 등 정서적 소통까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은이의 행복지수가 70점으로 올라갔습니다.’스마트 워치에 문구가 떴다. 시은이 팔에 심어둔 ...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발생할지 예측하지요. 사회 현상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무수히 많습니다. 사람의 심리와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모든 사람을 변수로 삼는 건 불가능한 일이죠. 터친 교수는 집단의 행동이 개인의 행동에 의해 결정되지만, 개인의 선택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해 부의 불평등, 경제 상황 ... ...
- Part 1. 포커 인공지능의 승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런 기술까지 쓰면서 프로 포커 선수들과 승부했다. 기계는 표정이 드러나지도 않고 심리를 들킬 일이 없기 때문에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완벽한 ‘포커페이스’를 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떻게 상대의 마음까지 꿰뚫어 볼 수 있던 걸까. 수학으로 분석하고 프로그래밍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 ... ...
- [과학뉴스] 머릿속에 이미지 떠오르는 시가 아름답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아궁이의 시뻘건 장작불 속에 고구마를 던져 놓고 군고구마를 기다리는 소리, 하얀 눈이 소리 없이 우리 집 마당을 찾아올 때 추억이 만들 ... 강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학과 창의성, 예술의 심리학’ 2017년 11월 30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7/aca000015 ... ...
-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뇌를 연결하는 실험에 성공했거든요. 실험에는 컴퓨터학과의 라제시 라오 교수와 심리학과 안드레아 스토코 교수가 참여했어요. 두 사람은 전극이 붙어있는 모자를 쓴 채 각자의 연구실에 앉았어요. 이후 라오 교수는 화면에 물체가 나타나면 발사 버튼을 눌러 대포를 쏘는 게임을 시작했어요.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보통 공격하는 개를 나쁜 개, 가만히 있는 개를 온순한 개라고 착각하지만 그들의 심리 상태는 똑같을 수 있다는 뜻이다. 개의 공격성은 ‘사다리’에 비유된다. 두려운 상대가 가까이 다가오면 처음에는 불편함과 두려움의 의사표현을 몸으로 보인다. 이것을 사람이 이해하지 못하고 가까이 오면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얼굴 정보만으로 용케 여성임을 알아봤다. 활짝 웃으면서도 내심 긴장했던 기자의 심리 상태도 ‘공포’라며 정확히 맞췄다. 하지만 가장 소름 돋는 부분은 바로 나이다. 나름 동안이라고 자부해왔는데, 딥미러의 눈은 속일 수 없었다. 딥미러를 개발한 윤호섭 책임연구원은 “기존의 얼굴 인식 ... ...
- 반려견 표정의 시그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측정하는 방법으로 반려견 표정을 분석했습니다. 폴 에크만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와 월리스 프라이슨 미국 켄터키대학교 연구원이 사람의 표정을 찾아내기 위해 만든 얼굴 동작 코딩 시스템 ‘FACS’를 개에 적용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다변량분석’이라는 통계 분석 방법이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등 부위별 생김새에 따라 호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는있다. 톰 하틀리 영국 요크대 심리학과 교수는 새로운 사람을 만났을 때 첫인상은 얼굴의 특정 부위와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2014년 7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doi:10.1073/pnas.1409860111/-/DCSupplemental).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10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