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하지만 시력 측정값은 0보다 작을 수 없으므로 마이너스 시력도 존재하지 않아요. 안경 처방전에 적힌 숫자 앞의 는 ‘근시가 있는 사람을 위한 렌즈’라는 의미예요. 근시란 가까운 것은 잘 보이지만 멀리 있는 것은 잘 보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지요. 숫자 앞에 +가 적혀 있다면 먼 것은 잘 보지만 ... ...
- [통합과학 교과서 ] 구해줘! 잭의 콩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곰팡이에게 광합성으로 만든 탄수화물을 제공하지요. 곰팡이는 식물이 사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존재랍니다. 곰팡이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식물의 뿌리에 자리잡아요. 곰팡이의 몸을 이루는 실 모양 세포인 ‘균사’가 식물 뿌리 표면을 감싼 형태를 외생균근이라고 해요. 균사가 식물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컵까지먹을수있다! 초콜릿으로 컵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2cm라고 할 수 있죠.한편, ‘주파수’는 전자기파의 진동 횟수예요. 주파수가 10Hz면, 1초 동안 마이크로파가 10번 진동했다는 뜻이지요. 한 주기인 파장 12cm에 주파수를 곱하면, 전자기파의 이동 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계산하면, 2450(M*Hz*)x12(cm*)=2450x1,000,000x12x0.01=2.9억이 나옵니다. 이는 ...
- [과학용어] 수성/협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절벽들이 장관을 이룹니다. 이 절벽은 콜로라도 강을 따라 흐르는 물줄기가 오랜 시간 동안 산을 깎아 만들어진 지형이에요. 이처럼 높은 산지에서 강물 등이 흐르며 땅이 깎여 만들어진 골짜기를 협곡이라고 해요. 협곡은 지질학적으로도 중요한 연구 대상이에요. 예를 들어, 그랜드 캐니언의 ... ...
- [4컷 만화] 전투력 甲 총알개미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이온 통로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통로가 열리면, 나트륨 이온이 세포 안으로 밀려들어 오고, 신경 세포가 이를 뇌에 전달해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연구팀은 포네라톡신과 나트륨 이온 통로가 결합하면 이온 통로가 다시 닫히는 것을 막아 통증이 최대 12시간까지 지속된다고 ... ...
- [가상 인터뷰] 나무로 만든 위성이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그 잔해들이 우주를 떠돌고 있거든. 타카오 도이 교수팀은 “우주 쓰레기가 지구 환경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어. 하지만 나무로 만들어진 위성은 수명이 다하면 완전히 연소돼 우주 쓰레기를 줄일 수 있지. 타카오 도이 교수팀은 목련 나무로 만든 위성을 내년에 우주로 발사할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프레파라투아르에 입학합니다. 원하는 대학에 가지 못했지만 그는 18살에 수 세기 동안 수학자들을 괴롭혔던 수학 문제를 하룻밤 만에 해결했어요. 5차 이상의 고차 방정식에는 근의 공식이 없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지요. 그 과정에서 대칭에 관해 연구하는 군론의 토대가 만들어집니다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과학동아 독자들이 어떻게 하면 실패를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을지 조언을 청했습니다. 안 교수는 “KAIST 학생들이 그랬던 것처럼, 일상에서 벌어지는 실패의 순간들을 기록해 보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일상에서 어떤 실패를 했는지, 어떤 성공을 했는지 목록을 적어보면 아마 성취가 더 많을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빛은 관측 대상 뒤에 있는 사물에서 반사된 빛이기 때문에 관측 대상은 말 그대로 안 보이게 됩니다. 순식간에 위치가 바뀐다? 양자면 가능이번 영화에서는 세 주인공이 능력을 사용할 때마다 위치가 순식간에 바뀌는 모습이 나옵니다. 마치 순간이동을 하듯이 말이죠. 순간이동을 하려면 빛만큼 ... ...
- [과동키즈] 내 소설의 날개를 펼치기에 SF는 최적의 공간이었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다음 책의 출간 과정에서도 끔찍한 일들이 있었다. 내 글이 세상에 필요한지 오랫동안 고민이 이어졌다. 2018~2021년에 이런 고민 속에서 글을 쓰고 또 쓰며 기회를 엿봤다. 글에 관해 여러 선생님도 찾아가보고, 소설을 위해 직접 종교 단체에 잠입 취재까지 했다. 그러나 그렇게 쓴 원고는 공모전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