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과학동아 독자들이 어떻게 하면 실패를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을지 조언을 청했습니다. 안 교수는 “KAIST 학생들이 그랬던 것처럼, 일상에서 벌어지는 실패의 순간들을 기록해 보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일상에서 어떤 실패를 했는지, 어떤 성공을 했는지 목록을 적어보면 아마 성취가 더 많을 ... ...
- [이그노벨상] 좋은 과학은 웃긴 과학 (일지도 모른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마지막 인사를 메일주소와 함께 전한다.air@improbable.com ❋종이비행기 : 오랫동안 이그노벨상 시상식에서 빗자루로 무대의 종이비행기를 치우는 일을 해왔던 ‘청소부’, 로이 글라우버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는 2005년 ‘광학 결맞음에 관한 양자론적 공헌’을 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우두법을 배워오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는 지석영이 정부의 우두법 보급 네트워크 안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지석영은 1885년, 충청도의 ‘우두교수관’에 임명돼 우두법 전문 의사를 양성했고 ‘우두신설’을 저술해 우두법을 정리하고 보급하는 데 힘썼다. 이것이 그를 조선의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등 세 종류의 암컷 모기를 여러 색상의 점이 그려져 있는 터널 안에 넣었어요. 터널 안으로 이산화탄소를 넣어주자 모기들은 붉은색, 검은색, 청록색 점을 향해 날아갔습니다. 반면 녹색, 파란색, 보라색 점 쪽으로는 날아가지 않았어요. 제프리 리펠 교수는 “피부색과 상관없이 사람의 피부에서는 ... ...
- [메타버스 여행법] 템플릿으로 손쉽게 나만의 아이템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보이는지 파악하는 거죠. 아이템을 만들 때는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무단으로 사용하면 안 돼요. 다른 사람이 만든 틀이나 디자인 앱에서 제공한 질감을 사용해 아이템을 만들 때는 상업적 이용이 가능한지 저작권을 꼭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제가 직접 찍은 풍경 사진을 이용해 아이템을 ... ...
- [똥손 수학체험실] 구구단을 외자~! 아니, 구구단을 돌리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스피드 퀴즈! 11×3의 정답은?”앗, 구구단은 9단까지밖에 안 외웠다고요? 당황하지 마세요.돌림판으로 놀다 보면 11단도 금세 머릿속에 쏙! 구구단은 언제부터 외웠을까? “구구단을 외자~! 구구단을 외자~!”여러분은부터까지 하나도 잊지 않고 구구단을 외울 수 있나요? 사람들은 대체 왜, 언제부터 ... ...
- [일타수맨스] “수학 강의로 감동을 주고 싶어요” 손승연의 인기 비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하루에 집중해서 공부한 시간을 평균 14시간으로 유지했어요. 이런 생활을 한 서너 달 동안 하던 중 갑자기 학원에서 쓰러졌어요. 제 간에 고름이 생겼다고 하더라고요. 한 달 넘게 입원하면서도 시간이 아까워서 계속 공부했습니다. 오른팔에 주사를 맞으면 공부를 못 하니까 왼팔에만 계속 주사를 ... ...
- [Reportage] 영재학교판 두뇌 서바이벌 게임, 제2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프로그램 회의를 했어요. 김동황 : 위원회에 두세 명씩 짝을 지어서 함께 게임을 고안해보라고 했어요. 게임 아이디어를 비롯해 진행 방법까지 대략적으로 구상해오면 괜찮은 것만 정리해서 민성에게 전달했어요. 그리고 민성도 좋은 아이디어라고 판단하면 프로그램을 구체화했지요. 방학이 끝난 ... ...
- 와그작! 탕후루 씹는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구형으로 만드는 이유”라고 설명했습니다. 비결정 고분자 설탕으로 코팅된 탕후루를 안전하게 먹는 방법을 굳이 찾자면 천천히 녹여 먹는 겁니다. 천천히 씹어서 날카로운 설탕 단면들이 혀나 입천장에 닿기 전에 침으로 얼른 녹여야 합니다. 노 교수는 “탕후루를 먹는다면 천천히 맛을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서로 다른 공간에 있던 개미들이 마주치게 됩니다. 이처럼 선이 하나로 이어지고, 면의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신기한 곡면을 뫼비우스 띠라고 부릅니다(활동지 B로 만든 뫼비우스 띠는 뫼비우스 띠 B라고 합시다). 뫼비우스 띠는 1858년 독일의 수학자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가 발견해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