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몇 명은 떠났지만 두 명이 남았고 뎀베의 연구실로 데려가 감금했다. 그리고 물리적으로 모든 통신을 끊어버렸다. 하지만 몇 시간이 지나도 아무도 오지 않았고 아무 연락도 없었다.혹시 그를 잊어버린 것은 아닐까? 답답함과 초조함, 그리고 좌절감이 찾아왔다.연구실 간이침대에서 자고 있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퍼즐, 수학이 되다!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1명을 뽑는 가짓수가 q-1명에서 r-1명을 뽑는 가짓수의 배수다.➌ 같은 방식으로 0≤i≤r인 모든 정수 i에 대해 n-i명에서 r-i명을 뽑는 가짓수는 q-i명에서 r-i명을 뽑는 가짓수의 배수다.1970년대 리처드 윌슨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교수는 n이 충분히 크다면, 이 조건만 만족해도 (n, q, 2) 디자인이 있다는 ... ...
- 스마트폰이 문자 읽는 비결은?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뒤, 선분 단위로 쪼개 미리 입력해 놓은 문자 정보와 비교하면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모든 낱자는 ‘가’와 ‘구’ 같은 자음+모음 결합, ‘각’과 ‘국’ 같은 자음+모음+자음결합, 그리고 ‘닭’과 ‘굶’ 같은 자음+모음+자음+자음결합 등 총 여섯 가지 중 하나이므로 쉽게 자음과 모음을 구분할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볼 수 있듯이 디지털 색공간은 삼각형 영역의 색만 표현할 수 있을 뿐, 자연에 있는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지는 않아요. 그래서 색채 연구자들은 색공간을 더 넓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최근에는 DCI-P3(이하 P3)라는 색공간이 주목받고 있어요. 이 색공간은 월트 디즈니, 소니 픽처스, 20세기 폭스 ... ...
- Intro. 수학으로 그린 꿈의 도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보좌관인 제가 수학자와 과학자의 이론을 섭렵하고 특훈을 받았습니다. 도시 건설의 모든 것을 정리한 제 노트를 보여드리죠!먼저 여러 도시의 사례를 살펴봅시다. 마침 도시를 분석한 수학자와 과학자가 있어요. 2014년, 프랑스 이론 물리학연구소의 수학자 레미 라우프와 물리학자 마크 ... ...
- Part 3. 비상! 쓰레기 홍수 발생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담당할 구역을 나눌 땐 ‘집합 덮개 문제’를 풉니다. 예를 들어 쓰레기차가 4대라면, 모든 배출지를 포함하면서 각 차의 관할구역이 최대한 덜 겹치도록 도시를 4개로 나누는 거죠. 집합 덮개 문제로 관할구역을 정하고 나면, 구역별로 순회하는 외판원 문제를 풀어 최단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 ...
- [Career] ‘비움의 미학’ 실현하는 3D 프린팅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외에도 좌석을 지탱하는 하단 부분이 둔탁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좌석의 모든 부위가 사람의 체중을 싣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물리적으로 필요 없는 부분을 과감하게 생략해 사람의 뼈처럼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모양으로 ‘살빼기’를 했다.하지만 기존의 생산기술로는 이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그칠 수 있다(오른쪽 그림). 천연두가 바로 집단면역으로 사라진 대표적인 감염병이다. 모든 사람이 백신으로 천연두에 면역력을 가지게 됐기 때문이 아니라 집단면역으로 인해 천연두가 전파되지 못하고 영원히 박멸된 것이다.집단면역은 집단 내 개개인의 백신 접종률에 따라 달라진다. 백신 ... ...
- [DJ CHO의 롤링수톤] 에스허르 하우스에 갇힌 가상 밴드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피파’의 가장 오랜 버전 ‘피파 98’의 주제가 ‘Song2’를 불렀습니다. ‘우~후!’로 모든 게 정리되는 곡으로, 한때 ‘우후송’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고릴라즈의 데뷔로 블러의 인기는 고릴라즈에 밀리게 되지요…. 고릴라즈의 환상적인 세계고릴라즈는 노래만 하지 않고 팬들을 위해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가지 세계 어딘가에서 100% 실현돼.어느 쪽이 더 ‘일어날 법하다’고 생각되나? 가능한 모든 결말이 일어났는데 내가 사는 세계에서는 고양이가 죽었을 뿐이라고 보는 게 더 그럴듯하지 않나? 1만 번 중 9999번은 고양이가 죽지 않고, 딱 한 번만 죽는 희귀한 사건이 일어났다고 믿는 것보다 말이야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