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마음은 내 삶의 사진이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찍은 사진이 실제 사물을 렌즈를 통해 비춘 허상이듯 말이다.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정보는 뇌에서 시상으로 모였다가, 해마와 편도체를 거쳐 변연계에서 편집된다. 그리고 대뇌피질이 최종적으로 생각과 감정으로 인식한다. 이것은 실제와는 다른, 뇌가 각색하고 왜곡한 이미지다.우리는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통신 케이블의 구조를 살펴보고 실험도 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이 갖춰져 있었다. 최 교수는 곧바로 이 책임연구원에게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현재 난관에 부딪힌 자동차 통신 기술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보자는 것이었다.100배 빠른 차량 통신 비결 ‘온고이지신’공자는 논어에서 ‘옛것을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사례를 제외하면, 백신은 위와 같은 단계를 모두 거쳐야 실제 접종에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단계를 거친 뒤에도 백신의 부작용을 항상 모니터링하며, 실제 접종 뒤 대규모 집단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로 효과 및 안전성을 다시 한 번 검증한다. 이를 4상 시험이라고 부른다.까다로운 과정을 거침에도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하나로 합쳐 놓은 것이 직교라틴방진이에요. 다시 말해 두 라틴방진의 원소로 이뤄진 모든 순서쌍을 라틴방진의 조건에 맞게 나타낸 거예요.직교라틴방진 연구를 ‘조합론’의 효시로 꼽기도 하는데, 유럽에서는 오일러가 1776년 직교라틴방진에 관한 논문을 써 가장 먼저 연구했어요. 그런데 최근 ... ...
- 수의 시선을 담다 ‘유현미 작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불구하고 수학 연구는 멈추지 않았죠. 이 사람의 머릿속에서 수학은 살아 움직여요. 모든 게 다 수학 기호나 수처럼 보이는 것이지요. 이런 모습이 저는 아주 순수하게 보였고, 재미있다고 느꼈어요.”조각을 전공한 유 작가는 수학자가 본 세상을 직접 표현하고 싶었다. 그래서 수를 입체적으로 ... ...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비슷하게 재현해 낼 수 있었다. 이 방정식으로 현대 전쟁의 패턴을 설명할 수 있으며, 모든 전쟁의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고 했다.가상 실험과 다르게 실제 전쟁에는 예상하지 못한 변수가 생길 수 있어 이 주장의 타당성을 완벽하게 입증하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오래전부터 군대에서는 수학을 ... ...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공격을 많이 당한 영국군은 독일군의 비행기를 탐지할 레이더를 설치하기로 했다. 모든 곳에 설치할 수 없으니, 한정된 개수의 레이더로 가능한 넓은 범위를 감지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찾아야 했고, 최적의 위치를 찾는 데는 수학적 방법론을 이용했다. 이렇게 최적의 위치를 찾는 방법은 작전 ... ...
- 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모두 컴퓨터로 제어하기 때문에 전력망을 통제할 수 있는 무기가 개발된다면 꼼짝없이 모든 체계가 멈출 것이다. 이를 막기위해 강력한 보안을 위한 정교한 암호를 개발 중이다. 우주전 인간과 기계가 우주로 나갈 수 있게 된 오늘날, 전 세계의 군대에서는 지구 궤도를 현대전의 새로운 고지로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똥을 짜낸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똥은 압출되는 대신 미끄러진다”고 말했습니다. 모든 포유류가 배변 때 밀어내는 압력이 비슷하기 때문에, 그 정도 힘만으로 코끼리가 거대한 똥을 밀어 내기란 쉽지 않을 거라고 본 겁니다.연구팀이 이런 엉뚱한 연구를 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1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시작했다.나노셀룰로오스가 각광받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엄청나게 풍부하다는 점이다. 모든 식물성 섬유는 다 이용할 수 있다. 제지공장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나 볏짚, 신문지, 목재 펄프, 심지어 해조류나 멍게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로도 가능하다. 이 연구관은 “어떤 나무를 쓰든 크기나 회수율 ... ...
이전2702712722732742752762772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