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에너지를 생산하는 ‘밥솥’을 만든다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과정을 자동화한 게 밥솥이죠. 화학공정도 마찬가지입니다.”화학공정은 제품을 만드는 모든 과정을 수학적으로 계산해 자동화시키는 과정이다. 화학공학뿐만 아니라 수학,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효율적으로 돌리기 위한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도 두루 익혀야 한다.화학공정 최적화해 비용 절감이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사례를 제외하면, 백신은 위와 같은 단계를 모두 거쳐야 실제 접종에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단계를 거친 뒤에도 백신의 부작용을 항상 모니터링하며, 실제 접종 뒤 대규모 집단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로 효과 및 안전성을 다시 한 번 검증한다. 이를 4상 시험이라고 부른다.까다로운 과정을 거침에도 ... ...
- [DJ CHO의 롤링수톤] 에스허르 하우스에 갇힌 가상 밴드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피파’의 가장 오랜 버전 ‘피파 98’의 주제가 ‘Song2’를 불렀습니다. ‘우~후!’로 모든 게 정리되는 곡으로, 한때 ‘우후송’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고릴라즈의 데뷔로 블러의 인기는 고릴라즈에 밀리게 되지요…. 고릴라즈의 환상적인 세계고릴라즈는 노래만 하지 않고 팬들을 위해 ... ...
- Part 1. [거대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거대한 몸집을 날렵하게 움직이며 악당을 물리치는 거대로봇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모든 세대들에게 사랑받고 있어요. 그리고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상상 속 거대로봇이 실제로 등장하기 시작했지요. 거대로봇이 등장하는 만화영화 로봇 태권브이. 지난 1962년, 미국 공군은 전차 형태의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매혹하는 걸까. 연구팀은 심층 인터뷰 결과, 냄새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모든 건 냄새 때문입니다. 흙 냄새가 정말 좋아요. 냄새를 너무 맡고 싶어서 흙을 구하러 가요.”-우간다의 임신하지 않은 여성(논문 ‘우간다 북부의 토식증’ 中)이를 뒷받침할 만한 사례가 미국에도 있다.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황 교수는 재료와 불, 공기, 유약을 바르는 두께 등 모든 변수들을 하나하나 바꿔가면서 새로운 유약을 만드는 연구를 15년째 하고 있다. 그의 지도교수였던 이병하 명지대 교수 때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약 30만 개의 유약 실험 데이터를 축적해 왔고, 그 중에서 ... ...
- [Culture] 마음은 내 삶의 사진이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찍은 사진이 실제 사물을 렌즈를 통해 비춘 허상이듯 말이다.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정보는 뇌에서 시상으로 모였다가, 해마와 편도체를 거쳐 변연계에서 편집된다. 그리고 대뇌피질이 최종적으로 생각과 감정으로 인식한다. 이것은 실제와는 다른, 뇌가 각색하고 왜곡한 이미지다.우리는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통신 케이블의 구조를 살펴보고 실험도 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이 갖춰져 있었다. 최 교수는 곧바로 이 책임연구원에게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현재 난관에 부딪힌 자동차 통신 기술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보자는 것이었다.100배 빠른 차량 통신 비결 ‘온고이지신’공자는 논어에서 ‘옛것을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그칠 수 있다(오른쪽 그림). 천연두가 바로 집단면역으로 사라진 대표적인 감염병이다. 모든 사람이 백신으로 천연두에 면역력을 가지게 됐기 때문이 아니라 집단면역으로 인해 천연두가 전파되지 못하고 영원히 박멸된 것이다.집단면역은 집단 내 개개인의 백신 접종률에 따라 달라진다. 백신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하나로 합쳐 놓은 것이 직교라틴방진이에요. 다시 말해 두 라틴방진의 원소로 이뤄진 모든 순서쌍을 라틴방진의 조건에 맞게 나타낸 거예요.직교라틴방진 연구를 ‘조합론’의 효시로 꼽기도 하는데, 유럽에서는 오일러가 1776년 직교라틴방진에 관한 논문을 써 가장 먼저 연구했어요. 그런데 최근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