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17개와 태아 조직 7개, 혈액을 만드는 조혈모세포 6개 등을 분석해 단백질을 만든다고 알려진 유전자의 약 84%에 해당하는 1만7294개 유전자가 어떤 단백질을 만드는지 밝혀냈다. 팬디 교수는 “인간의 뇌, 간, 폐 등 각 장기에서 발견되는 특이 단백질을 확인한 성과도 거뒀다”고 말했다.이 연구는 결과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우리 몸에서 어떤 질병이 생기는지 알 수 있다. ③ 음료수에 들어 있는 유해 성분에 대해 알 수 있다. ➃ 물을 적정량 꾸준히 마셨을 때의 긍정적인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4. 교과 연계무학년 과학 교사는 학생들에게 하루에 물을 어느 정도 마시고 있는지 묻고 대답하는 시간을 통해 수업에 대한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디자인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고 싶기는 했지만, 수상은 전혀 뜻밖이었어요.”알파벳 G모양을 본뜬 그의 첫 퍼즐은 이후 ‘더블 G 퍼즐’이라는 이름으로 상품화되어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저는 기계적 퍼즐을 주로 다루는 오스카 반 디벤터와 베사 티모넨을 존경해요. 우리나라에도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퍼졌을 것…. 회오리바람까지 등장하다니 다윈도 어 지간히 급했나 보다.반세기가 지나 알프레드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이 나오면서 이 문제는 깔끔하게 해결된다. 원래 한 대륙으로 붙어있던 지 역들이 갈라지면서 민물에 사는 생물들이 여러 대륙으로 나눠 진 것이다. 민물고기였던 폐어의 화석이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의도를 숨기고 뇌를 속이도록 복잡하게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얼굴을 지 금처럼 알 수 없게, 무궁무진하게 다양한 표정을 지니도 록 진화시킨 것은, 어쩌면 마음을 읽고 싶기도 하고 감 추고 싶기도 한 이율배반적인 인류의 마음 때문이 아닐 까. 그렇다면 하나 더. 미래의 얼굴은 어떻게 변할까.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생명윤리 학제간 센터웬델 월러치 교수와 인디애나대 과학철학사 및 인지과학과 콜린 알렌 교수는 저서 ‘왜 로봇의 도덕인가’에서 세 가지 접근법을 소개했다. 도덕적인 원칙에 맞춰 로봇의 판단을 결정하는 ‘논리 기반 접근법’, 다양한 사례에서 자신의 판단 근거를 찾아내는 ‘사례 기반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운명은 그런 거라고. 내게 ‘항해자(보이저)’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은 이런 내 운명을 알고 있었던 걸까.나는 태양이다. 인류가 만든 탐사선이 우주공간을 헤매다 내 힘이 미치는 가장 바깥쪽 경계를 통과했다는 뉴스가 들린다. “보이저 1호가 태양계를 벗어났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하지만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오늘은 내가 좋아하는 축구교실에 가는 날이야. 유후~! 들뜬 마음으로 축구교실에 함께 다니는 주영이 집에 들렀어. 그런데 집 앞에서 주영이를 부르는 순간! 글쎄 주영이 어머니가 ... 걸 느꼈어. 친구들도 지금 부모님을 꼬옥 안아 봐. 행복 호르몬이 퐁퐁 나오는 느낌을 알 수 있을 거야 ... ...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즉, 정리 ❶에 따라 미로의 출발점과 도착점이 서로 다른 안과 밖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 미로는 영원히 도착점에 도착할 수 없다. 이처럼 미로는 설계에 따라 영원히 탈출할 수 없는 것도 있다.탈출 전략의 열쇠는 그래프 이론!영화 속 미로는 탈출할 수 없도록 설계된 미로는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가지 경우가 생기게 된다.다세계 해석의 주장은 이렇다. 두 관측자 가운데 누가 옳은지 알 수 없다. 두 관측자 모두 옳다는 말이다. 모든 관성계가 동일하다는 상대성이론의 가정이 떠오르지 않는가? 결국 관측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두 개의 우주가 존재해야 한다. 우주는 전체적으로 유니타리 진행할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