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생명윤리 학제간 센터웬델 월러치 교수와 인디애나대 과학철학사 및 인지과학과 콜린
알
렌 교수는 저서 ‘왜 로봇의 도덕인가’에서 세 가지 접근법을 소개했다. 도덕적인 원칙에 맞춰 로봇의 판단을 결정하는 ‘논리 기반 접근법’, 다양한 사례에서 자신의 판단 근거를 찾아내는 ‘사례 기반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디자인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고 싶기는 했지만, 수상은 전혀 뜻밖이었어요.”
알
파벳 G모양을 본뜬 그의 첫 퍼즐은 이후 ‘더블 G 퍼즐’이라는 이름으로 상품화되어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저는 기계적 퍼즐을 주로 다루는 오스카 반 디벤터와 베사 티모넨을 존경해요. 우리나라에도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균열이 생긴다. 이 교수는 “미리 살펴봤다면 지하에 동공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행히 큰 사고가 나지는 않았지만 지금보다 문제에 더 빨리 대처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문제의 원인엔 늘 안일함이 있다처음에는 싱크홀이나 동공의 원인이 TBM 쉴드 공법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7큐비트 양자컴퓨터인 셈이다. 물론 3×5가 15라는 것은 양자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우리의 목표는 큐비트의 수를 늘려 엄청나게 큰 수도 소인수 분해에 성공하는 것이다. 단지 큐비트의 개수를 늘리는 것이 기술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그런데 2011년 디-웨이브(D-WAVE)라는 ... ...
[만화뉴스] 승부차기에서는 앞 선수와 같은 방향으로 슛을 날려라!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이때 골키퍼가 공을 막기 위해 쓸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은 자신의 다이빙 방향을 상대방이
알
수 없게 무작위로 선택하는 것뿐이다.그러나 최근 영국의 인지과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골키퍼들은 무작위로 몸을 던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UCL)의 인지신경과학과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먹으면 위 속에서 천천히 녹으면서 환자의 정보를 수집해 약 먹을 시간을 자동으로
알
려 줄 수도 있다.이러한 사회적 흐름 속에서 구글 부사장 수잔 보이치키는 “만약 당신이 코딩으로 새로운 기술을 창조할 수 있다면, 당신은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코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한편 전문가들은 ... ...
[생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조예가 깊어 영국 최초로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이해하고 이를 주장한 사람으로도 잘
알
려졌다.그는 여러 권의 수학책을 출간했는데, 1557년에는 영국 최초의 대수학책인 을 썼다. 바로 이 책에서 세계 최초로 등호 =를 사용했다. 로버트 레코드의 등호는 현재의 등호보다 매우 긴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왜 둘을 붙여 놓았는지 모르겠군요. 서프라이즈! 농담이었어요!게다가 더 자세히
알
아보니 이런 실험을 했다는 이야기 자체가 실화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 기계를 만들었다는 증거도 남아 있지 않습니다. 에디슨이 그런 이야기를 한 것은 맞습니다. 정확히는 ‘죽은 사람과도 대화할 수 ... ...
꿀벌 VS 말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만들어요. 그 안에는 아주 많은 일벌들과 공중에서 여왕벌과 짝짓기를 하는 수벌, 그리고
알
을 낳아 번식을 책임지는 단 한 마리의 여왕벌이 산답니다. 꿀벌이 모아 놓은 꿀과 애벌레를 말벌이 훔치러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면 꿀벌은 무리지어 말벌을 둘러싼 뒤 근육을 움직여 온도를 높이거나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맞았을 때의 가장 중요한 산물이 바로 타원곡선 방정식 해의 무한성을 판별할 수 있는
알
고리듬이다. 그러나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의 증명은 우리시대의 기술적 수준으로는 이루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그럼에도 올해 필즈상 수상자 중 한 명인 만줄 바르가바의 연구는 이 추측의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