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8회 두물머리에서 만난 사람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반장의 사물함
알
파벳에 공통점이 있어. 사물함의 정답 M은 문 반장을, 저택 문에 나열된
알
파벳 퍼즐의 정답 B는 이장의 성이 변 씨임을 뜻하는 건지도 몰라. 서로 약속한 기호인 건가…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산을 뚫고(!) 가라고 오작동하는 걸 보면, 위 치를 인식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있다. 고층 빌딩 사이에서는 GPS신호조차 이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필자는 제한된 정보만으로 스스로 군집을 이루 는 시스템을 향후 연구할 계획이다. 군집로봇은 지금부터 시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곡률’이 0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그런데 어떻게 이 시공간이 굽어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까? 상자를 자유낙하시키면서 동시에 그 안에서 수평방향으로 세 개의 공을 던진다고 생각해보자. 지구의 만유인력은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커지고 멀리 있을수록 작아진다(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를 이용해 무한한 세대까지 계산해보면 우성과 열성의 비율이 항상 일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만약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이 틀렸다면 대우법에 따라 앞서 가정한 ‘몇 가지 조건’들이 잘못됐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몇 가지 조건’은 진화가 일어나지 않는 조건이다. 따라서 ‘하디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하는 국가도 늘었고, 우주인을 훈련시키고 우주에 보내는 게 얼마나 가치있는 일인지도
알
게 됐다. 그들의 값비싼 경험을 잘 활용하는 것은 우주개발에 참여한 국가 사이에서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의 우주인은 우주를 다녀온 뒤에도 우주여행의 경험을 살릴 수 있는 일에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수 있는 것이다. 도심의 지하공간은 지하집모기에게 이상적인 공간이다. 일단 한 차례
알
을 낳은 모기는 다음 산란에 필요한 피를 얻기 위해 환기통로나 출입문으로 나온다. 끝이 보이지 않는 화수분처럼 지하실에서 계속 새로운 모기가 튀어나오는 셈이다. 매년 200만 명 모기 때문에 죽어한밤중에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않는다는 결과가 나오면 국소적 숨은 변수이론이 틀렸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1982년
알
랭 아스페는 두 개의 광자를 이용해 벨의 부등식이 틀렸음을 보인다. 양자역학이 맞았던 것이다. 이것은 우주가 국소적 실재성을 갖지 않음을 의미한다. 논리적으로는 국소성과 실재성 둘중의 하나만 틀려도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바꿀 수 없 다는 문제도 있다. 연구팀은 기체를 개발하는 대로 더 욱 정교한 세부
알
고리듬을 연구할 예정이다. “재난현장에 군집 드론 투입할 것”국산 군집드론이 노을진 하늘을 배경으로 철새처럼 편대비행하는 모습을 언제쯤 볼 수 있을까. 아직은 해 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야외에는 ... ...
네 마음
알
아, 걸음걸이만 봐도….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받은 답변을 바탕으로 보행모습에서 감정을 인식하는
알
고리듬을 개발했다.
알
고리듬 실험 결과는 성공적이어서, 조금만움직임이 변해도 그에 따른 감정 변화를 제대로 맞췄다.연구팀은 “향후 더 많은 동작 데이터를 축적해 다양한 감정 인식의 가능성을 검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못가는 날도 실내 연구로 바쁘긴 마찬가지다. 하지만 공동연구를 하고 있는 김용원
알
래스카주립대 교수는 “오지에서는 잘 먹고 잘 자야 연구도 더 오래 잘 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연구팀은 기자가 떠나기 하루 전 커다란 킹크랩 여러 마리를 사와 식당에서 가벼운 저녁식사를 하며 재충전의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