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살
알
려주는 혈액 검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메틸화 작용(후성유전)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연구팀은 실제 예방에 쓰일 수 있는지
알
아보기 위해 325명의 혈액을 분석해 메틸화 여부를 확인했다. 그리고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지 설문을 통해 확인했다. 그 결과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은 80%, 실제로 행동으로 옮긴 사람은 90%까지 정확하게 맞출 수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울릉도의 바닷속을 즐길 수 있는 가장 경치 좋은 곳 ‘10경’을 완성해 국내외에
알
리고 싶다”며 “힘들긴 하지만 이런 의미 있는 일에 젊은 과학도가 많이 참여했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편집자 주|이 기사는 9월호 브로마이드 ‘독도 수중 생태지도’와 함께 보시면 더 재미있습니다. ... ...
풍선처럼 둥둥 떠서 전기 만드는 풍력발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머지않은 미래에는 연처럼 하늘에 떠 있을 전망이에요. 미국 에너지 기업인
알
테이로스 에너지스 전문가들은 고도가 높을수록 바람이 더 강하게 분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하늘에 띄우는 풍력발전기 ‘배트(BAT)’를 개발했어요. 배트는 풍선처럼 생긴 몸통에 헬륨가스를 가득 채워 하늘에 띄운 다음, ... ...
알
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않아. 대신 철쭉이 많은 소백산과 지리산, 한라산 세 곳 군락지의 개화 상태를 관측해서
알
려 주고 있지.어때? 기준이 있으니까 나 초정밀처럼 정확하게 구분하기가 쉽지? 동생이나 형과 뭔가 일치하지 않아 문제가 생긴다면 다투지 말고 기준을 정해 봐. 그럼 문제가 풀리고 한결 사이도 좋아질 거야 ... ...
[수학뉴스] 수학자 부자, 퍼즐로 새로운 서체를 만들다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만든 ‘링크 체’는 고정된 각도 안에서 선을 풀어 헤치면 어떤 글자인지 한눈에
알
기 어려워진다. 에릭 드메인은 “사람들이 이 서체와 함께 재미있게 놀수 있으면 좋겠다”며, “아버지와 나는 정말로 퍼즐을 사랑한다. 우리가 만든 퍼즐은 누구든지 쉽게 참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맞았을 때의 가장 중요한 산물이 바로 타원곡선 방정식 해의 무한성을 판별할 수 있는
알
고리듬이다. 그러나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의 증명은 우리시대의 기술적 수준으로는 이루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그럼에도 올해 필즈상 수상자 중 한 명인 만줄 바르가바의 연구는 이 추측의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수 있었던 것이다.사실 이순신 장군이 이런 수학적인 원리를
알
고 전술을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당시에는 군함마다 ‘도훈도’라는 말단 관리가 타서 뱃길이나 군사 물품 수 등을 계산했다. 한서대 수학과 이광연 교수는 “당시 도훈도는 산학자였다”면서, “화포를 쏘기 위해 사정거리를 ... ...
색칠게임 했더니 뇌지도가 쓱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뇌지도가 만들어지면 의사결정과 공포 등 정신활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체계적으로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KT는 이번 제휴로 이 게임의 목표가 1년 안에 달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 ...
전자파·방사능 스마트폰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고정하면 감마선 방출 횟수를 측정해 방사선량을 μSv/h(시간당 마이크로시버트) 단위로
알
려준다.원래 FTLAB은 기업을 대상으로 전문 측정 및 검사 장치를 제조해 판매하는 회사다. 플라스마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고 대표는 연구교수로 일하면서 검사장비를 만들어 대기업에 판매한 경험을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연결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영향을 받았다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